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4407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rality of an Euthanasia


  • 저자 : 김혜진
  • 형태사항 : iii, 50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 전공 2000. 8
  • KDC : 194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0
  • 주제어 : 안락사, 의료윤리, 호스피스, 도덕성, 국민윤리




초록 (Abstract)

  • 과학의 발달과 함께 진행되어온 의료 기술의 발달은 과거에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던 대부분의 질병을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 과학과 의학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여전히 늙고, 병들어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이한다.
    의학적으로 해결해내지 못하는 질병과 고통들을 안락사라는 자연스럽지 못한 죽음을 원하게 만들었다. 회복될 수 없거나 불치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환자의 죽음을 유발시키거나 허용하는 관행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안락사는 고대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술되어져 왔고, 최근에는 네덜란드, 스웨덴 등의 서구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적으로 제도화되기에 이르렀다.
    안락사 문제는 뇌사 판정과 장기 이식의 필요와 맞물려 많은 논쟁을 낳고 있다. 안락사의 도덕성 문제에 대한 쟁점은, 안락사 시술의 의도가 남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순수한 마음이라 하더라도, 과연 생명을 인위적으로 종식시켜가면서까지 고통을 덜어주려는 것이 과연 도덕적으로 옳은가 하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안락사 개념의 모든 의도와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안락사 시술의 엄격한 기준은 결정되어야 한다. 안락사 시술의 결정은 오직 환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논의되고 결정되어야 하고, 오진이나 오판의 경우를 막을 수 있는 적절한 구조적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안락사의 대안으로서의 호스피스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시키며, 호스피스 활동의 범위와 영역을 전문화시키고 확장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말기 환자의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한 의료적 연구와 신경정신학적 연구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하고, 그 가족을 위한 사회적 배려의 방법도 강구되어야 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3
    33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3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3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30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29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43
    28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2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8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2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0
    2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5
    23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2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8
    2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3
    20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3
    19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
    1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16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15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