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7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4406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thics of Medical Personels


  • 저자 : 김재영
  • 형태사항 : iii, 57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54-5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2000. 8
  • KDC : 370.88 4
  • DDC : 370.114 19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0
  • 주제어 : 의료, 직업관, 간섭주의




초록 (Abstract)

지금 우리 사회는 민주화의 열기와 시민들의 권리 의식의 상승으로 인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여러 마찰들이 일어나고 있고 전통적인 권위들이 무너지고 있다. 의료의 문제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의료를 단순히 의사의 시혜로 알고 감사해 왔던 입장에서 환자들은 하나의 도덕적 주체로서, 또 의료의 소비자로서 자신에게 그에 걸맞은 대우를 해 줄 것을 요구하게 됐고, 그 결과 의료인들의 환자의 진료에 있어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행위지침으로 협약, 규약, 선언 등이 채택되었으며, 나아가서 그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이 제정 되는데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현대 의료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의사-환자관계를 설정해 보고자 의도하였다. 특히 의사의 윤리를 중심으로 다루어 보았는데 그것은 의료의 현장에서 환자를 주도적으로 직접적인 접촉을 가장 많이 하기 때문이다. 지난날의 선의의 간섭주의 모델에서 벗어나 이 시대에 부합하는 의사-환자관계를 Rovert. M. veatch의 네 가지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 여기에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을 적용하여 도출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의료인의 윤리를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의사라는 지위가 현실적으로 환자보다 우위를 점하는 부문도 많은 것은 사실이다. 사실은 사실로서 받아들이되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의료인의 윤리의식의 함양, 인간존엄성의 인정, 환자를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시킬 수 있는 폭넓은 의료제도 개혁의 필요성들을 순차적으로 연구하여 보았다.
의사라는 직업은 생활을 영위할 목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 있는 것이다. 의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의 사명을 확실하게 자각하는 것이다. 의사는 의사라는 직업을 생계 수단으로서 만이 아니라, 고귀한 생명을 다루는 의사 직분 그 자체를 기뻐하며 거기에서 만족을 느끼는 직업관을 가져야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로부터 그에 합당한 대접을 받게 되는 것이다. 환자가 의사에게 무엇보다 기본적으로 바라는 것은 생명에 대한 경건한 마음과 인간에 대한 연민과 성실한 자세일 것이다. 이것은 의사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덕목임과 동시에 의학 자체가 본래 이 두 가지 덕목 위에 성립된 학문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잃어버린 의학은 아무리 초인류적인 발전을 하더라도 인류를 결국 파멸에 이끌게 될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5
46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45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4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43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1  811
4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0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2000  732
40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09
39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38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4
3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2012  563
36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35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34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33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1
32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31 22 동물복지 동물관련 법제의 입법과정에 관한 일고찰: 지각적 존재(sentient beings)와 업(業, karma)을 기준으로/조원용 2016  390
30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문사회학적 쟁점과 과제에 관한 연구 / 김진영, 허완규 2018  338
29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20
2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