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4406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thics of Medical Personels


  • 저자 : 김재영
  • 형태사항 : iii, 57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54-5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2000. 8
  • KDC : 370.88 4
  • DDC : 370.114 19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0
  • 주제어 : 의료, 직업관, 간섭주의




초록 (Abstract)

지금 우리 사회는 민주화의 열기와 시민들의 권리 의식의 상승으로 인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여러 마찰들이 일어나고 있고 전통적인 권위들이 무너지고 있다. 의료의 문제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의료를 단순히 의사의 시혜로 알고 감사해 왔던 입장에서 환자들은 하나의 도덕적 주체로서, 또 의료의 소비자로서 자신에게 그에 걸맞은 대우를 해 줄 것을 요구하게 됐고, 그 결과 의료인들의 환자의 진료에 있어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행위지침으로 협약, 규약, 선언 등이 채택되었으며, 나아가서 그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이 제정 되는데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현대 의료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의사-환자관계를 설정해 보고자 의도하였다. 특히 의사의 윤리를 중심으로 다루어 보았는데 그것은 의료의 현장에서 환자를 주도적으로 직접적인 접촉을 가장 많이 하기 때문이다. 지난날의 선의의 간섭주의 모델에서 벗어나 이 시대에 부합하는 의사-환자관계를 Rovert. M. veatch의 네 가지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 여기에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을 적용하여 도출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의료인의 윤리를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의사라는 지위가 현실적으로 환자보다 우위를 점하는 부문도 많은 것은 사실이다. 사실은 사실로서 받아들이되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의료인의 윤리의식의 함양, 인간존엄성의 인정, 환자를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시킬 수 있는 폭넓은 의료제도 개혁의 필요성들을 순차적으로 연구하여 보았다.
의사라는 직업은 생활을 영위할 목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 있는 것이다. 의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의 사명을 확실하게 자각하는 것이다. 의사는 의사라는 직업을 생계 수단으로서 만이 아니라, 고귀한 생명을 다루는 의사 직분 그 자체를 기뻐하며 거기에서 만족을 느끼는 직업관을 가져야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로부터 그에 합당한 대접을 받게 되는 것이다. 환자가 의사에게 무엇보다 기본적으로 바라는 것은 생명에 대한 경건한 마음과 인간에 대한 연민과 성실한 자세일 것이다. 이것은 의사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덕목임과 동시에 의학 자체가 본래 이 두 가지 덕목 위에 성립된 학문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잃어버린 의학은 아무리 초인류적인 발전을 하더라도 인류를 결국 파멸에 이끌게 될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8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317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316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315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314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6
313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31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3
311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31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2008  877
309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43
30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307 9 보건의료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실태 / 정선영 외 2014  808
306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2014  797
30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0
304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66
30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4
302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30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6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2000  732
2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