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4406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thics of Medical Personels


  • 저자 : 김재영
  • 형태사항 : iii, 57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54-5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2000. 8
  • KDC : 370.88 4
  • DDC : 370.114 19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0
  • 주제어 : 의료, 직업관, 간섭주의




초록 (Abstract)

지금 우리 사회는 민주화의 열기와 시민들의 권리 의식의 상승으로 인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여러 마찰들이 일어나고 있고 전통적인 권위들이 무너지고 있다. 의료의 문제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의료를 단순히 의사의 시혜로 알고 감사해 왔던 입장에서 환자들은 하나의 도덕적 주체로서, 또 의료의 소비자로서 자신에게 그에 걸맞은 대우를 해 줄 것을 요구하게 됐고, 그 결과 의료인들의 환자의 진료에 있어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행위지침으로 협약, 규약, 선언 등이 채택되었으며, 나아가서 그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이 제정 되는데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현대 의료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의사-환자관계를 설정해 보고자 의도하였다. 특히 의사의 윤리를 중심으로 다루어 보았는데 그것은 의료의 현장에서 환자를 주도적으로 직접적인 접촉을 가장 많이 하기 때문이다. 지난날의 선의의 간섭주의 모델에서 벗어나 이 시대에 부합하는 의사-환자관계를 Rovert. M. veatch의 네 가지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 여기에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을 적용하여 도출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의료인의 윤리를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의사라는 지위가 현실적으로 환자보다 우위를 점하는 부문도 많은 것은 사실이다. 사실은 사실로서 받아들이되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의료인의 윤리의식의 함양, 인간존엄성의 인정, 환자를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시킬 수 있는 폭넓은 의료제도 개혁의 필요성들을 순차적으로 연구하여 보았다.
의사라는 직업은 생활을 영위할 목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 있는 것이다. 의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의 사명을 확실하게 자각하는 것이다. 의사는 의사라는 직업을 생계 수단으로서 만이 아니라, 고귀한 생명을 다루는 의사 직분 그 자체를 기뻐하며 거기에서 만족을 느끼는 직업관을 가져야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로부터 그에 합당한 대접을 받게 되는 것이다. 환자가 의사에게 무엇보다 기본적으로 바라는 것은 생명에 대한 경건한 마음과 인간에 대한 연민과 성실한 자세일 것이다. 이것은 의사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덕목임과 동시에 의학 자체가 본래 이 두 가지 덕목 위에 성립된 학문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잃어버린 의학은 아무리 초인류적인 발전을 하더라도 인류를 결국 파멸에 이끌게 될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발행년 2011 

  • 조회 수 615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 의료인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 : '09년 김할머니 사건 이후 / 박명옥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7

18 인체실험 웹기반의 실시간 e-IRB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동욱

발행년 2013 

  • 조회 수 61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 임승희, 신애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8

20 죽음과 죽어감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s of Death / 박형숙, 지영주, 김순희, 김윤지

발행년 2014 

  • 조회 수 620

9 보건의료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국내 발생 및 실험실 감시 현황 / 지영미

발행년 2006 

  • 조회 수 620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발행년 2016 

  • 조회 수 621

18 인체실험 골아세포로 분화되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이 담지된 세포외기질 지지체의 조직공학적 응용 / 이인재

발행년 2016 

  • 조회 수 62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범위에 관한 연구 / 손연우

발행년 2015 

  • 조회 수 623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발행년 2007 

  • 조회 수 62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인식:Q-방법론적 접근 / 배보경

발행년 2007 

  • 조회 수 62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 손승우

발행년 2017 

  • 조회 수 626

1 윤리학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와 도덕적 존중의 의미 - 피터 싱어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김광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626

1 윤리학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법제 정비 방안/ 김유림

발행년 2019 

  • 조회 수 62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발행년 2014 

  • 조회 수 627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발행년 2013 

  • 조회 수 627

12 낙태 멕시코의 폐미니스트운동과 낙태정책 : 2007년 멕세코시티 낙태합법화의 의미 / 강경희

발행년 2009 

  • 조회 수 628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발행년 2003 

  • 조회 수 628

1 윤리학 미셸 푸코의 통치성 개념 연구 / 김정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629

5 과학 기술 사회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위험과 규범 / 고봉진

발행년 2009 

  • 조회 수 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