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938901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저자 : 유인철
  • 형태사항 : iii, 52장; 26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2001
  • KDC : 512.8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1
  • 주제어 : 간호사, 윤리, 간호윤리학, 의료윤리



초록 (Abstract)

  • 의료 현장에서 의료인으로 간호사가 빈번하게 부딪히는 여러 문제들이 있다. 하나는 의료 기술의 발전, 사회적 여건의 변화, 도덕적 가치관의 전환으로 삶과 죽음에 관련된 중요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상당히 불확실한 감각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간호사는 환자와 그의 의견을 대변하는 환자의 가족, 그리고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려는 의사와의 관계 속에서 많은 갈등을 겪게 된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에서 일어나기 쉬운 환자 소외현상에 관한 것으로서 인간의 권리와 환자의 권리에 관한 문제이다.
    간호사는 의사가 하지 못하는 인간적인 일들을 수행해내며 환자의 질병 뿐 아니라 환자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문제들을 해결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낀다. 간호사 자신은 자신의 직업적이고 윤리적인 특징을 잘 소화해서 환자에게 인간적인 치료를 한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에게 약을 투입하고 주사를 놓는 것 외에도 환자의 내적인 미묘한 변화를 잘 살피고 환자 뿐 아니라 환자의 가족, 친구들까지 하나하나 신경 써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병이 아닌 인간을 치료하는 진정한 간호의 의미이다.
    모든 간호사들은 언제나 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들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켜 주려는 좋은 의도를 가지고 간호를 수행한다. 또한 간호 그 자체는 대상자들이나 가족들의 의견을 존중하여야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볼 때 간호사의 의도와 간호 행위는 그 자체로 도덕적으로 훌륭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간호사의 전문성의 확대에 따른 역할과 위치의 변화로 책임이나 한계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졌고,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환자 간호 가능성의 범위가 엄청나게 확대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간호사가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에 대하여 도덕적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간호사 윤리의 윤리적 토대로써 덕 윤리와 돌봄의 윤리를 살펴보고, 이런 윤리적 토대를 통하여 간호사들이 부딪히는 도덕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간호사들이 가져야 하는 윤리 덕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3
    33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3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3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30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29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43
    28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2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8
    2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2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0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5
    23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2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8
    2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3
    20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2
    19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
    1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16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15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