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단국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형사법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934837 

刑法上 安樂死·尊嚴死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in Criminal Law


  • 저자 : 兪鮮敬
  • 형태사항 : x, 222 p..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檀國大學校 大學院: 法學科 刑事法 2001
  • KDC : 364.000
  • 발행국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1
  • 주제어 : 형법, 안락사, 존엄사




초록 (Abstract)

생명은 인간이기 위한 전제조건이며 법 이전의 천부적인 것으로 인간이 누리는 권리 중 가장 강하게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生命權은 어떤 경우에도 침해될 수 없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死刑, 人工姙娠中絶手術, 戰爭, 正當防衛, 安樂死, 尊嚴死의 상황 등 예외적인 조건하에서는 質的 評價를 거쳐 이것이 침해되더라도 법질서에 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생명침해가 법질서에 반하지 않기 위해서는 잃어버린 생명보다 더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이익이 보호된 경우라야 한다. 안락사, 존엄사의 경우 본인의 '生命'과 대칭되어 보호되는 이익은 '환자의 苦痛除去'와 '환자의 自己決定權'이다. 생명이나 고통제거가 자기결정권도 모두 환자 개인에게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쪽을 우선시키는가의 몫은 본래 환자 자신에게 귀속한다. 환자 스스로, 또는 스스로 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推定的으로 생명 대신 고통제거의 이익을 택했다고 판단되고, 회복불능, 사망의 임박, 다른 대안의 부재 등의 필요조건이 충족된다면 이 범위에서 의사의 생명유지의무는 후퇴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즉 환자가 본인의 진지한 결정에 근거해서 의사의 생명유지치료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의사의 생명유지의무에 우선한다고 보아 환자의 의사에 반해서 인위적인 生命維持措置를 강제적으로 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며, 그러한 범위에서는 보호자나 의사는 生命維持義務가 면제되므로 환자의 요구에 응해서 치료를 중단한 의사는 처벌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환자가 생명유지 치료를 거부했지만 그가 이미 변별력을 잃은 상태에서 치료를 거부했다면, 이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유효하게 행사된 것이 아니므로 의사의 생명유지의무가 유지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 때문에 그 의무에 위배하여 사람을 사망케 한 의사 등은 경우에 따라 殺人罪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행사 할 수 없을 정도로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주관적인 측면에서 환자의 推定的인 決定的 죽음의 과정에 들어섰다고 하는 명확한 증거가 있을 때에만, 담당의사는 환자의 생명을 인위적으로 유지 내지 연장해야 될 의무가 면제되고 환자의 안락한 죽음을 위해 협조해야 할 의무를 진다고 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요건이 충족되지 못한 상태에서 延命治療를 자의적으로 중단하여 환자를 사망케 하면, 의사는 살인죄를 면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환자가 의식이 없어서 의사표시를 할 수 없는 경우, 먼저 口頭나 文書로 작성된 환자의 事前意思表示가 있으면 그 사전적 의사결정에 따라 환자의 평소의 성격, 가치관, 종교적 신념 등을 고려하여 가족이나 보호자가 환자 본인의 입장에 서서 의료행위를 계속할 것인지 여부에 관하여 진지하게 고려한 후, 그에 근거하여 가족이나 보호자의 의사표시로부터 환자 본인의 의사를 추정하는 것도 일정한 제한된 경우에는 허용된다 할 것이다. 그러한 추정이 허용되기 위해서는 가족이 환자의 추정에 필요한 모든 것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환자의 추정적 의사가 있는지 여부가 의심스러울 경우에는 환자의 생명을 보호, 유지해야 할 의무를 우선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 법체계가 추구하는 生命保護의 原理와 우리의 법현실로 볼 때, 積極的 安樂死는 인정할 수 없지만 회복이 불가능한 末期患者에 대한 無意味한 生命延長治療의 中止는 許容되어야 하고 이는 법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실적 관행으로 행해져 온 가망 없는 患者의 治療中止를 허용하기 위해 엄격한 조건 아래서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의사의 생명보호 의무를 조화할 수 있는 이론구성을 모색하고, 濫用의 弊害를 막을 수 있는 法的, 制度的, 事前, 事後 統制裝置를 포함하는 엄격한 조건을 구상하여 無意味한 延命治療의 中止를 合法化하는 입법모델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입법화와 더불어 이를 보완하고 병행하는 대안으로서 Hospice system 등을 채택하여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며, 또한 치료비의 부담을 사회화하는 방안등의 사회보장제도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88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보험료부과체계에 관한 법적 고찰 -지역가입자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 참가율 부과기준 중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송기민, 정정일 2014  1349
448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37
4486 2 생명윤리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오희순 2016  1336
448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448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31
448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의 정당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정화성 2009  1323
4482 8 환자 의사 관계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 안법영, 백경희 2013  1323
4481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22
4480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2
4479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1
447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4
4477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3
44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12
4475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0
447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4473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44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255
4471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51
447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446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