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91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876306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Moral Theological study about the “stem cell”


  • 저자 : 김태정
  • 형태사항 : v, 92 p. ; 26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2010. 2
  • 발행국 : 전라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주제어 : 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생명윤리



초록 (Abstract)

  •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웰빙(well-being), 건강 그리고 더 나아가 “생명”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생명”이라는 화두 속에서 경제 패러다임의 혁신적 변화와 자본주의가 만나 이루어낸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은 크게 눈여겨 볼만하다. 하지만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진 새로운 전망과 더불어 인간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위협들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인간 배아(胚芽)의 연구, 유전자 조작 및 장기를 만들어 장기이식을 하는 치료의 허용 범위, 이종간 교잡 행위 등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크게 제기되고 있다. 이제 생명 윤리의 문제는 어떤 특정한 나라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중요 관심사가 되었다.
    2005년 우리나라는 황우석 박사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그와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을 통하여 인간복제, 배아복제연구, 줄기세포 등의 어려운 과학용어들을 일반사람들도 많이 사용할 정도로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생명파괴 등의 윤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음에도 수많은 난치병 환자들을 치유하고 경제적으로도 대단한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줄기세포 연구란 무엇이며, 또 의료분야에 줄기세포를 사용하는 것이 왜 논란이 되고 있는지? 무엇보다도 배아복제를 위하여 추출하는 줄기세포들이 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왜 많은 생명윤리학자들, 특히 가톨릭교회는 줄기세포 연구와 응용에 반대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러면서 줄기세포 연구가 윤리적 타당성을 지니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해 가기 위해서 지켜져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혹자는 가톨릭교회가 줄기세포 연구를 전면 부인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문제의 핵심은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줄기세포의 출처에 대한 반대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또한 줄기세포는 크게 성체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가톨릭교회는 윤리적인 문제들 때문에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반대하면서 윤리적인 문제가 없는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특별히 서울대교구의 생명위원회가 펼치고 있는 생명수호 운동과 생명윤리를 실천하며 살아가는 미국의 발전된 생명수호 운동을 예로 들면서 한국교회의 새로운 모습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나타나는 배아의 파괴 등의 윤리적, 법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윤리적 문제가 없는 성체줄기세포와 역분화 줄기세포 연구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렇게 본고에서는 과정과 결과 양쪽 모두에서 인간을 위하고 생명을 위하는 대안으로 성체줄기세포 연구를 살펴보았다. 비록 성체줄기세포 연구가 배아줄기세포 연구보다 효율성 면에서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지만 여러 임상실험들을 통하여 그 격차를 줄이고 있으며, 나아가 인간배아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사실에서 치료의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너진 건물은 그 위에 다시 세우면 된다. 그것은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지만 우리 사회의 가치관이, 생명의 존엄성이 무너져 내리면 그것을 회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당장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우리 사회가 올바른 사회가 되도록 지탱해주는 생명의 가치를 수호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필자는 나아가 다가올 미래에는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존엄성이라는 영원하고 보편적인 가치를 펼쳐 보이는 세상이 되기를 조용히 기도하며 소망해 본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1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체세포복제배아(SCNT) 정당성 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김경순 2008  676
    30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7
    29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1
    »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3
    27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26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0
    25 2 생명윤리 영화를 감상한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및 의사결정 유형 분석 / 김민정 2014  801
    2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합리적인 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 윤이레 2014  272
    2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4  334
    22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2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2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19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18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17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16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1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3
    14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 권복규, 안경진 2007  478
    13 1 윤리학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적 논쟁의 변화 / 백수진 2012  434
    12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