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공주대학교 대학원: 윤리학과 윤리교육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960221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Life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 저자 : 육정란
  • 형태사항 : 65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60-63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윤리학과 윤리교육 전공 2003. 2
  • KDC : 374.419 4
  • 발행국 : 충청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3
  • 주제어 : 도덕 교과, 생명 교육, Moral Education




초록 (Abstract)

21 세기의 생명공학, 의료기술 등의 과학적 발전이 인간 생활에 풍요와 편리라는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준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면에 인간의 존엄성과 생태 환경의 파괴를 통하여 심각한 생명의 위기를 초래하였다.
생명의 가치는 효용가치 또는 쾌락 가치와는 다른 의미를 담고 있어서, 우리에게 생명을 존중할 것을 요구하며, 살아있는 것은 모두 그 자체로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앞서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인간 사유 체계의 전환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이것이 곧 생명 교육이며, 그 접근 방안을 도덕 교과 교육에 적용하여 모색해 보았다.
지금까지 전개된 본 논문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 개념의 확대라는 사고의 전환이 요청된다. 전통적으로 인간만을 생명의 대상으로 바라보던 인간중심적 입장에서 벗어나, 인간 외의 생명체들도 생명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인정하는 자연 중심적 입장으로서의 인식의 전환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즉, 생명 개념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생명의 가치를 인간만을 대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 생명체로 확대함을 통하여 자연의 도구적 가치가 아닌 비도구적 가치, 본래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둘째, 생명 윤리 교육이 강화되어 좀더 체계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생명교육의 성격상 그 내용은 단순한 일개 영역의 교과를 넘어서 통합 교과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생명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윤리를 회복하기 위해서 생명의 존엄성과 인간 생명의 개념을 자연에까지 확대하는 사고를 바탕으로 생명의 개념, 본질 및 가치와 생명의 위기 현상 및 원인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교과별 지도 요목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생명 윤리 교육의 방향은 인간중심적 전체론과 생명공존에 대한 보편적 배려, 자연 감상의 심미적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산업화는 인간을 기계로 취급함으로써 본래의 나를 잃어 가는 생명 경시 풍조를 조장하였다. 이에 인간 자체의 존엄성 회복을 바탕으로 자연 생명체에 대한 존중감으로 확대함을 통하여 생명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하며, 또한 인간이 독단적 주체자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생명체에 대한 보편적 배려를 통한 공존적 태도가 필요하다. 자연 속 인간은 더불어 감상할 수 있는 심미적 태도를 통하여 생명 존중의 가치관을 함양해야 한다.
넷째, 생명교육에서 인성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동안 교육은 인간 자체에 대한 연구를 간과해왔다. 이제 생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간의 참된 자아를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부분은 인간의 개념이나 본질 및 생명의 개념이나 본질 등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철학적 성격을 지니게 된다. 생명의 문제는 과학의 영역이 관계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과학의 문제보다는 철학의 문제가 된다. 따라서 철학적 접근이 강조되는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연구의 결론을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생명교육의 체계적 구성과 통합교과적 요소의 체계화 부분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차후에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전망된다.
첫째, 생명교육의 지도 요소 통합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요망된다. 생명교육의 접근 방안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주제 통합이나 교과 통합이 선행될 때, 그 효과가 크다고 본다. 교과 통합의 경우보다 더욱 접근하기 쉬운 방법은 주제 통합의 경우로 생명과 관련된 주제들을 중심으로 각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생명교육의 단원개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본 및 하위 요소들은 기본 틀만을 제공했기 때문에 광범위하다. 따라서 교과 교육과정 속에서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그 지도 요소를 투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68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266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2012  245
266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신현호 2006  245
2665 8 환자 의사 관계 사과법(Apology Law)의 입법동향 및 관련 쟁점 /이로리 2018  244
2664 9 보건의료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 / 정지윤 2018  244
2663 15 유전학 2PL-1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2018  244
2662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2017  244
2661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44
266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이해 / 김종만 2012  244
» 2 생명윤리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육정란 2003  244
265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들의 연명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 미치는 영향 / 최진경 2013  244
2657 5 과학 기술 사회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서의 인공지능과 몸, 감정, 윤리적 주체의 문제/ 박선화 2018  243
2656 1 윤리학 인(人) 이외의 존재에 대한 법인격 인정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이경규 2018  243
265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2017  243
2654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3
2653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3
2652 15 유전학 유전체맞춤의료를 둘러싼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도덕성 논쟁 -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 정창록 2016  243
2651 9 보건의료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박근수 2015  243
2650 14 재생산 기술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인간배아복제 연구 : 특집논문 ; 시험관 아기 시술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관계 / 박재현 2005  243
2649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조원현 2009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