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학협동과정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292313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초록 (Abstract)

생명공학(biotechnology)은 난치병과 같은 질병 극복이나 국가경쟁력 향상의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과학적 진전이나 산업적 성취는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로 주목받고 있으며 해매다 막대한 연구자원이 이 분야에 투입되고 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는 지속적으로 윤리·사회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는 생명공학이 기본적으로 인체와 같은 생명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생명공학의 진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여 연구나 응용의 허용 범위와 절차를 법률이나 지침의 형태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복제양 돌리 출현 이후에 생명공학 활동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했고, 2000년부터 본격화 되었으며 2003년 12월 「생명윤리및안전에 관한법률」이 국회를 통과함으로서 일단락되었다. 법률의 내용에 대한 판단을 떠나 생명공학의 다양한 영역을 규제하는 ‘포괄법’ 형태의 법률이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제정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법률이 제정되고 시행된 2005년 이전까지는 우리나라 생명공학 활동을 규제할 구속력 있는 장치는 없었다.
규제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기술부는 생명윤리자문위원회를 구성을 통해 그리고 시민단체는 ‘입법운동’이나 ‘생명복제기술 합의회의’와 같은 숙의적인(deliberative) 시민참여 제도를 도입을 통해 규제형성 과정에 참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단체가 생명공학 규제 형성 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입했고, 결과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다. 동시에 그것을 가능하게 한 조건과 한계를 살펴본다. 또한 시민단체들이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고, 실천했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시민참여 제도 도입 운동이 우리나라 생명공학 거버넌스에 어떤 함의를 주었는지 살펴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12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4
11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10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2012  563
9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8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
7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6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2003  536
4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3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2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1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