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가정의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754129 

(The) Attitude of hospice cancer patients towards life-sustaining treatments mentioned in advance medical directives


  • 기타서명 :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저자 : 윤호민, 윤호민
  • 형태사항 : ii, 41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

    단면인쇄임.
    지도교수:최윤선
    참고문헌 : p.32-3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가정의학전공 2009.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 주제어 : 호스피스 암환자, 사전의료지시서, 일치, 불일치, 의사결정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호스피스는 무의미한 생명연장 보다는 생존기간 중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의 전제조건으로는 환자들의 자율성에 기초한 사전의료지시서의 윤리적, 사회적, 법적 인정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국내 현실은 아직 사전의료지시서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법적인 효력도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입원 당시 호스피스 암환자들이 작성한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연명치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및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특성과 연명치료 항목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둘째, 호스피스병동 입원 시 작성한 사전의료지시서의 내용과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간의 일치 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다.

방법: 2008년 3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완화의료센터에 입원하여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한 호스피스 암환자 102명의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여, 그 중 사전의료지시서 작성 당시 의식이 명료했던(10≥GCS) 74명을 대상으로 선택항목에 대한 빈도와 환자의 어떤 특성이 항목선택 요인으로 작용하는 지 단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그 중 사망한 42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선택과 의료중재의 일치 여부를 대상자 별로 나누어 빈도로 나타내었고, 항목별로는 맥네마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명치료 중에서 CPR 74명(100%), Intubations & Ventilator 74명(100%), Dialysis 71명(97.3%), ICU 71명(95.9%), Drug CPR 70명(94.6%), Defibrillation 73명(98.6%), Anti-arrhythmic Agent 66명(98.2%)로 받지 않겠다고 하였고, Antibiotics 73명(98.6%), TPN 73명(98.6%), Tube feeding 48명(64.9%), Transfusion 65명(91.5%), Lab & Image 69명(94.5%)가 받겠다고 하였다.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특성과 연명치료 항목간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p>0.05). 호스피스병동 입원 시,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환자가 선택한 연명치료와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는 일치 여부는 데이터가 빠진 대상자를 제외하고 38명으로 분석하였으며 35명(92.1%)에서 일치하지 않았다. 그 중 환자가 원했던 연명치료가 시행되지 않은 경우가 32명(84.2%)이었다. 항목별로는 Antibiotics, Tube feeding, Transfusion이 유의하게(p<0.05)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 환자들은 Antibiotics, TPN, Tube feeding, Transfusion, Lab & Image 항목을 연명치료로서 선호하였다. 호스피스 암환자가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선택한 연명치료항목과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는 대부분이 일치하지 않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 1.서론 1

    2.연구 방법 4

    3.결과 14

    4.고찰 22

    5.결론 27

    6.국문요약 28

    7.부록 30

    8.참고 문헌 3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08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5  69
    4207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2007  69
    4206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2013  69
    4205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존을 활용한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익 외 2018  69
    4204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
    4203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2009  69
    4202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4201 7 의료사회학 전문직 윤리 교육의 이해 / 권복규 2016  69
    4200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2018  69
    4199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2018  69
    4198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2018  69
    4197 9 보건의료 일본 정밀의료 관련 법제의 현황과 함의 / 이기호, 김계현 2018  69
    4196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2018  69
    4195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69
    4194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69
    4193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건강정보이해력 연구동향과 정책과제 / 이 민 외 2018  69
    4192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2013  70
    4191 14 재생산 기술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양윤선 2009  70
    4190 15 유전학 생명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 김동광 2004  70
    4189 9 보건의료 환자만족도 제고와 일차의료 기관 활성화를 위한 의료전달체계 적정화 연구 / 오동일 2016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