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북대학교 대학원 : 국민윤리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99481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Peter Singer's Theory of Bio-Ethics





초록 (Abstract)

  • 싱어는 서구 전통 윤리에서 불가침의 원리로 여겨졌던 인간 생명의 ‘신성함’이란 종 차별적인 개념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진부한 윤리로는 현대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유발되는 새로운 상황에 적절한 윤리적 대안을 제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전통적인 도덕성을 넘어 윤리적인 ‘코페르니쿠스적 혁명(Copernican Revolution) ’을 이루려한다. 싱어는 윤리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 혁명을 통해 모든 인간 생명이 신성하다는 것에 도전하고자 한다. 그의 주장과 같이 인간과 동물을 영혼이나 이성의 관점에서 질적으로 다른 존재로 보고자 한 전통적 인간관의 관점은 부정되어야 할 것인가? 이 논문은 피터 싱어가 제안하는 윤리적 혁명이 정합적인지를 검토하고 현대의 윤리적 딜레마들에 적합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논문은 모든 인간 생명은 신성하다는 기존의 관점이 유지될 수 있다고 본다. 기존의 신학적인 입장에서가 아니라 생태계 속에서 인간이 차지하는 고유한 위상으로 인해 모든 인간의 생명은 동물의 생명보다 존귀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생태계 내에서 유일하게 생태계에 간섭하여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다. 그러한 능력을 지닌 ‘종’으로서 인간은 동물을 능가하는 특별한 지위를 지닌다. 전체를 조율해야만 하는 입장에서 한 종의 동물은 전체를 위한 수단으로 삼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오로지 인간만을 위한 수단으로 삼을 수는 없다. 다른 동물을 인간만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입장은 폐쇄적인데 이는 이성적이지 못하다. 전체를 조망하여 조율하는 열린 이성적 입장은 지구상에서 인간만이 갖고 있다. 이 입장에 선다고 하더라도 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가하거나 오직 음식 재료로만으로 삼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은 싱어와는 달리 인간과 동물은 차이가 있다는 입장에서 그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볼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적 입장들을 정리하고 그 주장의 근거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려 한다. 싱어는 인간과 고통을 받을 수 있는 동물의 이익을 평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싱어가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주장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고통 받을 수 있는 감각 즉 ‘쾌고감수능력(sentience)’이다. 그는 감각이외의 지능이나 피부색과 같은 기준을 거부한다. 그러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이 갖는 공리주의적 성질에 따라 인격적인 특성인 지능과 자의식이 있는 존재가 전체를 위해 우선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가 싱어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따라 인간을 동물보다 우선시하지 않을 수 있는가에 관해 고찰해 볼 것이다.
    그 다음에 이 논문은 싱어의 인간관을 문제 삼을 것이다. 싱어는 자신만의 고유한 인간관으로 생명 윤리적 문제를 해결한다. 그는 인간이란 개념은 인격체(person)라는 의미로 다시 정의하여야 한다고 본다. 왜냐하면 인간의 생명을 신성하게 여기는 결정적인 기준은 바로 자의식을 가진 합리적인 인격체이냐 아니냐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싱어가 인격성의 특징으로 받아들인 플레처(Joseph Fletcher)가 제안한 ‘인간성의 지표’(Indicater of Humanhood)의 목록이 인간의 근본적인 특징을 나타내기에는 충분한지에 관해 살펴보려 한다. 즉 자의식, 자기통제, 미래감, 과거감, 타인과 관계맺는 능력, 타인에 대한 관심, 의사소통, 호기심 등을 과연 인간과 동물의 질적 차이의 기준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고찰해 볼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싱어의 동물 해방론과 그 문제점

    1. 싱어의 동물 해방론

    2. 반대 의견들에 대한 싱어의 입장과 그 문제점

    Ⅲ. 싱어의 생명 의료 윤리론과 그 문제점

    1. 치료용 인간배아 복제연구에 대한 싱어의 입장과 그 문제점

    2. 유아 살해에 대한 싱어의 입장과 그 문제점

    3. 안락사에 대한 싱어의 입장과 그 문제점

    Ⅳ. 싱어 생명 윤리론의 근본적 입장에 대한 비판

    1.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과 그 문제점

    2. 싱어의 인간관과 그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Ⅴ. 결 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8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33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27
    336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335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2009  6752
    33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2
    333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5
    332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66
    »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0
    3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27조 제3항 환자 ‘유인’ 금지의 적용범위 / 이석배 2011  1623
    329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0
    32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2
    327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326 1 윤리학 한국과 일본 의료법 체계에 관한 연구 / 김계현 2002  1403
    3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37
    32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323 8 환자 의사 관계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 안법영, 백경희 2013  1323
    322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5
    32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2
    3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319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