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72093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of Patient's Family Members toward Euthanasia for the Almost Dying Patients


  • 저자 : 윤지원
  • 형태사항 : 23, ii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22-23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0. 2
  • DDC : 610 22
  • 발행국 : 대구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주제어 : 호스피스, 안락사, 환자보호자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생명 연장이 가능해지면서 안락사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자료가 구체적으로 나와 있고 실제로 시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들도 주로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많아 말기 환자를 직접 돌보는 호스피스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9년 8월1일부터 10월 30일 사이에 경북대학교 병원과 대구 보훈병원 호스피스 보호자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모든 문항에 성실히 답변한 69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안락사에 대한 인식도와의 관계를 통계 프로그램 SPSS 14.0 window version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카이제곱검정으로 분석하였고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인자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소극적 안락사에 동의한다가 42명(60.9%)으로 가장 많았고 어느 것에도 동의하지 않는다가 18명(26.1%), 적극적 안락사에 동의한다가 9명(13.0%)순이었다.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주로 환자의 성별 및 연령, 보호자의 연령, 예후인지 여부, 경제상태가 있었다. 또한 안락사 비동의군에서 경제상태의 교차비가 9179로 경제상태가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많은 수의 응답자가 소극적 안락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환자나 보호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안락사를 시행하겠다고 답하였다. 이는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의 제정은 반드시 사회 경제적 지원대책의 행정적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1
  • 대상 및 방법 3
  • 결과 4
  • 고찰 14
  • 요약 20
  • 참고문헌 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908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15
    390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3906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3905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5
    3904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390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5
    3902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5
    3901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5
    390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3899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3898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3
    3897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3
    3896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3895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3894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3893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12
    3892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3891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2
    3890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임상에 있어서 줄기세포 치료제 활용 / 고예린, 윤화영, 채준석 2012  512
    3889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