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62663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에 관한 결정  :  유보, 중단을 중심으로 = Decision making of Resuscitation : Withhold or Withdrawal in Emergency Medical System





초록 (Abstract)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들에게 특별한 예외가 없다면 심폐소생술은 즉각적으로 시행되어 져야 한다. 그러나 소생술이 궁극적으로 심장기능의 회복에 도움을 주지 않고, 당사자가 소생술을 원하지 않았던 것이 명백하다는 이 2가지가 모두 만족된다면 소생술의 유보나 중단은 정당화 될 수 있다. 국내의 현실적 여건과 응급실의 상황들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필수적 요건들이 충분한 근거에 의해서 만족되기 어렵다. 이에 저자는 심정지가 발생한 후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에서 심폐소생술을 유보하거나 중단할 수 있는 시점들을 지정하였으며, 이때에 만족시켜야 하는 요건들을 알아보았다. 병원 전 단계 심정지에서는 응급구조사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때문에 유보나 중단에 대하여 의학적 측면에 근거한 의료지도가 필수적이다. 병원 단계 중 응급실의 초기 단계에서는 생명의 이익에 근거한 의학적 판단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심정지 후 치료까지를 포함한 넓은 범위의 심폐소생술의 과정에서는 후반부에 이를수록 의학적 판단 이외에도 가치 판단적 요인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심정지시 응급실에서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의 유보, 중단을 위해서는 단계에 따라 충족시켜야하는 요건들이 달라질 수 있으며, 환자 이익의 측면에서 이를 정당화 시키는 절차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2
  • I. 서론 3

    II. 응급의료와 소생술 4

    1. 응급의료의 특성 4

    2. 소생술 5

    3. 응급의료에서의 소생술 7

    III. 응급의료에서 소생술 시행, 유보, 중단 9

    1. 소생술의 유보, 중단 논의의 필요성 9

    2.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의 유보, 중단의 단계와 요건 11

    IV. 소생술과 관련한 의사결정 16

    1. 응급의료에서 의사결정의 의미와 필요성 16

    2. 소생술 중지와 관련한 의사결정 18

    V. 결론 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발행년 2019 

    • 조회 수 70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샌드박스에 관한 연구 / 김배현, 권영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김병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 다다 뉴맨에서 동시대의 혼성신체까지 / 최정은

    발행년 2015 

    • 조회 수 70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 조치 현안 및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 김순석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서 나타나는 인간존엄의 보편성과 특수성 / 최민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발행년 2017 

    • 조회 수 70

    9 보건의료 정밀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서비스의 혁신 패러다임 / 김종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70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70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발행년 2000 

    • 조회 수 70

    9 보건의료 환자만족도 제고와 일차의료 기관 활성화를 위한 의료전달체계 적정화 연구 / 오동일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15 유전학 생명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 김동광

    발행년 2004 

    • 조회 수 70

    14 재생산 기술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양윤선

    발행년 2009 

    • 조회 수 70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발행년 2013 

    • 조회 수 70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건강정보이해력 연구동향과 정책과제 / 이 민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 정책환경의 국제 동향과 의료기술평가에 대한 시사점 / 최솔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발행년 2019 

    • 조회 수 69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