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36719 

儒敎의 관점에서 본 老年의 사회적 의미와 養老의 정치학적 함의 = The Significances of the Aging Body and Caring of the Aged in Confucian Society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유교철학의 관점에서 노년의 문제를 새롭게 조명하고 노인 복지의 필연성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이 글은 우선 노화된 몸의 사회적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문제에 접근한다. 이 글이 몸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 까닭은, 그간 노년 문제를 다룬 동양철학의 연구들이 다분히 개인적이고 관념적인 차원에 머물러 있어서 현안에 대한 유익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노인혁명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노년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나아갈 바를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글은 현대 사회와 동양 사회에서 노화된 몸의 사회적 의미가 무엇이었는지 비교 고찰함으로써, 현대 자본주의 문명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지적하고 이와 대비되는 동양 사회의 유익한 지점을 밝히고 있다. 고찰에 따르면, 동양 사회에서 노화된 몸은 사회적으로 존중되고 국가적으로 보호를 받는 영예로운 대상이었다. 이점은 심각한 폄하와 소외가 만연한 현대 사회의 노년의 실상에 대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글은 왜 유교철학에서 養老를 국가적 정치 행위로 규정하고 실행하였는지의 이유를 고찰하고 그 의의를 해명한다. 논문에 따르면, 유교의 정치학에서 양로는 비단 노인 뿐 아니라 모든 이의 생명을 존중하고 창달케 하는 것으로, 단순한 개인적 윤리 행위가 아니라 국가의 필수적 정치 행위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서론

    Ⅱ. 노인혁명은 가능한 일인가?

    Ⅲ. 老軀에 대한 두 가지 사회적 인식

    Ⅳ. 유교철학에서 본 養老의 정치학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23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22 9 보건의료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박종현 2015  476
    2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20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1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1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17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899
    16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1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27
    1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2
    12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1
    11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2
    10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9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7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6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5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