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On the Ethical Dimens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Health' and 'Health Inequality'



RISS 서지확인  http://www.riss.kr/link?id=A100273637





초록 (Abstract)

오래전부터, 인간의 건강이나 질병은 단순히 생물학적이거나 자연적인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왔고, 따라서 사람들은 건강이나 질병이 다분히 개인적인 책임의 문제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이들 건강이나 질병이 개인의 사회경제적 수준, 그리고 인종별 생활 전통이나 문화적 배경 차이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건강이 나쁜 상태를 무조건 개인의 책임으로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왜냐하면 많은 경우, 개인은 소위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들, 예컨대 가난이나 실직, 영양실조, 그리고 나쁜 근무 환경 들을 관리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사회적 건강불평등 현상이 사회경제적 조건의 차이에 의해 초래되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는 일이다. 세계보건기구를 포함한 건강관련 국제기구들이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국가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들을 잘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오늘날 생명의료윤리학자들은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을 도덕적 내지 윤리적 사안으로 인식하고, 국가와 사회는 특히 두 가지 윤리원칙, 즉 건강권보호와 정의의 원칙을 실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통해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들을 살펴보고,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에 대한 논의들을 고찰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건강과 질병의 정의와 '건강결정요인'

    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과 '건강불평등'

    4.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

    5.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23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22 9 보건의료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박종현 2015  476
    2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20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1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1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17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899
    16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1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27
    1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13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2
    »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0
    11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2
    10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9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7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6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5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