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Investigation on the Limitations of the 'Patient Right of Self-Determination' / 'Patient Autonomy' in deci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RISS 서지확인  http://www.riss.kr/link?id=A100273641



초록 (Abstract)

연명의료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준거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주는데 있다. 그러나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첫째, '환자의 자기결정권'은 '의료행위'의 과정에서만 성립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둘째, '관계적 자율성'의 관점에서 환자는 그가 속한 사회와 타자와의 관계 내에서 어떤 결정을 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셋째, 자기결정이론은 환자가 의료진의 지지를 받음으로써 자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사회의 노인 돌봄 영역에서는 가족책임주의가 가지는 한계를 간파하여 가족에게 전적으로 돌봄을 의지할 경우 노인은 가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취약한 상태가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가족 간의 자율을 억압하는 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회적 돌봄 정책과 공적지원제도를 요청하는 '관계적 자율성'의 관점을 활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연명의료 결정방안을 위한 사례조사들은 환자들이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고자 한다는 점, 환자와 가족 간의 [정서적·경제적]부담감을 해소할 방안 등이 필요하므로, 경제적 지원과 병원윤리위원회 등을 통한 의견의 조정 등 체계적인 정책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강화시키는 방안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 확립과 시설확충, 병원윤리위원회의 활성화, 임종과정 환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 다각적인 정책으로 환자들이 연명의료에 대하여 올바르게 결정할 수 있도록 사회적·문화적 토대를 적극적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환자의 자기결정권'(patient right of self-determination)이 함의하는 원칙과 절차

    Ⅲ. '환자의 자기결정권'(patient autonomy)의 한계: 이론과 사례에서

    Ⅳ. 나오며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 의료사회학 전문직 윤리 교육의 이해 / 권복규

    발행년 2016 

    • 조회 수 69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발행년 2009 

    • 조회 수 69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존을 활용한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익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발행년 2007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발행년 2017 

    • 조회 수 6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양심적 거부에 관한 고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하는 의료인의 양심 / 김대균

    발행년 2017 

    • 조회 수 69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69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발행년 2011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

    7 의료사회학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정도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6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효율적인 동결방법 연구 동향 / 윤보애, 설혜원, 최영민

    발행년 2012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Equity and Population Health: Toward a Broader Bioethics Agenda

    발행년 2006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의료관련감염에서 감시 개선을 위한 평가 / 박창은

    발행년 2019 

    • 조회 수 68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 정책환경의 국제 동향과 의료기술평가에 대한 시사점 / 최솔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8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프레임워크 설계 / 신봉희, 전혜경

    발행년 2019 

    • 조회 수 68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