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A Christian Moral Theological Consideration for the Clinical Trial Ethics



RISS 서지확인 http://www.riss.kr/link?id=A100273642



초록 (Abstract)

임상시험은 그 목적이 인간의 질병치료이면서 동시에 이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시에 그 연구 대상도 인간이고, 이를 연구하는 주체도 인간이다. 한편 의학과 과학기술은 인간을 위한 목적에 이용되는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그러므로 의학과 과학기술을 그 수단으로 하는 임상시험은 인간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이익을 가져올 수단을 검증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인류는 임상시험이라는 수단이 인간의 기본 권리인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임상시험윤리를 제정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부 임상시험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입장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하느님께서 부여해주신 천부인권이기에 그 어떤 인간적 가치들보다도 우선시 된다.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되었고, 생명을 하느님께로부터 부여받았기에 존엄하며 다른 인간적인 모든 가치들은 이에 종속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인간의 존엄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가톨릭교회는 하느님께서 내어주신 것을 선물로 여기며 소중히 다루도록 요구한다. 임상시험에 대해 가톨릭교회가 타인을 위한 자기 증여를 애덕의 고상한 증거로 여기지만 재물에 집착하거나 생명에 대한 침범을 경고하는 것은 생명과 재물의 주체가 인간이 아닌 하느님이시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입법화된 임상시험윤리의 몇몇 부분들과 여러 윤리지침은 연구자의 양심적인 준수와 판단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해 가톨릭교회는 양심은 하느님께서 부여해주신 능력이기에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이해

    Ⅲ. 임상시험윤리의 체계화와 법률화

    Ⅳ. 임상시험의 문제점들

    Ⅴ. 임상시험윤리의 중심이 되어야 할 요소들

    Ⅵ. 임상시험윤리의 기본원리들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Ⅶ. 임상시험윤리기준에 대한 윤리 신학적 고찰

    Ⅷ.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7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2014  209
    56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55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김병수 2008  205
    5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53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생명윤리 / 김은애 2014  202
    52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2010  202
    51 17 신경과학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 신경윤리적 검토 / 김효은 2010  202
    50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49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
    48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47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0
    4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 임상윤리자문팀 / 허대석 2017  200
    45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44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43 5 과학 기술 사회 미토콘드리아 대체 기술 적용의 윤리적·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84
    42 15 유전학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박인숙 2018  184
    41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40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5  181
    3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