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Healthcare Provider's Spiritual Care for the Holistic Healing


RISS 서지확인 : http://www.riss.kr/link?id=A100273640




초록 (Abstract)

"앓는 이들을 고쳐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마태 10,8) 라는 예수님의 말씀처럼 가톨릭교회는 병자들에 대한 봉사를 교회의 주요 직무 가운데 하나로 여기고 있다. 환자의 고통에 전인적으로 응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환자, 즉 인간을 전인적 존재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의 모상으로서 인간이 창조되었다고 고백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인간이 영, 혼, 육으로 나눠진 부분의 집합체가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부분들이 상호 영향을 끼치고 있는 하나의 전체로서의 전인적 존재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교 신앙은 인간 창조의 순간 하느님의 숨결이 함께 하였음을 고백함으로써 인간이 하느님과 초월적으로 연결된 영적 존재임을 고백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는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육체-정신-영혼의 상호 통교 아래에서 영의 본질적이며 초월적인 의미를 추구하고 사는 심오한 일체성을 갖춘 통합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 의료 현장에서는 이러한 인간 이해가 바탕이 된 전인적 치유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과학화·전문화·분업화된 의료는 환자를 의료행위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으로 취급하게 되었고, 환자는 질병에 대한 기계적인 치료만을 받게 됨에 따라 질병 경험에 따른 근본적인 불안과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복음은 우리에게 전인적 치유의 모델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잘 전해주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공생활 가운데서 늘 병자들을 돌보셨으며 그들을 향한 자비와 사랑을 거두지 않으셨다.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는 겟세마니 동산에서 고통 가운데 기도하시면서 고통 중에 있는 이들이 무엇을 갈망하고 있으며, 이들을 온전히 치유하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한 육체적 치료 외에도 영적인 돌봄이 함께 병행되어야 함을 일깨워주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당신이 만나는 모든 사람들을 언제 어디서나 고쳐주셨고, 이들의 아픔에 극진한 사랑과 연민의 마음으로 함께 하심으로써 육체적 질병뿐만 아니라 전인적 치유를 위한 영적인 돌봄도 함께 베풀어주셨다. 또한 십자가의 수난을 겪으시고 부활하심으로써 각자가 안고 있는 고통을 마주하는 가운데서 하느님과 하나 되는 구원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해주셨다. 그리고 병자들과 함께 하시며 그들을 치유하시는 가운데서도 기도를 잊지 않으심으로써 당신의 모든 행위를 성부 하느님의 역사하심으로 성화시키셨고 기도가 가지는 거룩한 힘과 끝없는 위로를 우리에게 알려주셨다. 이제 오늘날 의료인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자리해야 하는지가 분명해졌다. 그들은 육체적·정신적 질병만을 치료하는 사람이 아니라 영적인 돌봄도 아끼지 않는 전인적 치유를 지향하는 돌봄 제공자로서의 의료인이 되어야 한다.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서처럼 자비로운 마음과 연민의 마음으로 고통 중에 있는 이들 곁에 머무르는 따뜻한 동반자로서 하느님을 도와 하느님의 사랑을 전달해야 한다.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치유의 능력을 발휘해 병을 직접 치료해주어야 하며, 하느님의 치유가 자리할 수 있도록 인격적인 친밀함 가운데 환자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위로와 격려를 베풀어야 한다. 환대의 미덕을 통해서 그들에게 자신을 온전히 개방하여 고통 가운데서 버림받음과 소외됨을 느끼지 않도록 돌보아야 한다. 그리고 기도와 돌봄을 통해서 그들을 향한 하느님의 현존과 사랑을 드러냄으로써 희망을 잃어버리지 않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료인 스스로가 상처받은 치유자임을 인식함으로써 하느님과 깊은 관계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자신 또한 똑같은 영적인 돌봄을 필요로 하며 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 한 명의 상처받은 인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하느님의 사랑과 연민을 그들에게 전해줄 수 있다. 그리고 바로 그때 고통이 가져다주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넘어서서 진정한 구원을 향한 길, 전인적 치유를 향한 길로 그들을 이끌어 줄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인간의 존재론적 구조-그리스도교적 인간관

    Ⅲ. 오늘날 의료현장의 현실과 영적 돌봄의 필요성

    Ⅳ. 영적 돌봄의 모델이신 예수 그리스도

    Ⅴ. 치유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재현하는 의료인의 모습과 역할

    Ⅵ. 결론

    참고문헌

    초록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708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0
    270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 김일방 2016  250
    270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0
    27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핀테크 / 김원걸 2016  250
    2704 14 재생산 기술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이진용 1997  250
    2703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유전자 윤리/홍정화 2010  250
    2702 5 과학 기술 사회 [편집장 칼럼] 브레인 2016 3대 키워드 : AI(인공지능), 뇌파, 감정 관리/장래혁 2016  250
    2701 22 동물복지 생명존중문화를 위한 국내 동물실험윤리의 한계와 전망/박창길 2016  250
    2700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0
    » 1 윤리학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노현기 2015  250
    269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50
    2697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49
    2696 9 보건의료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손인아 2013  249
    2695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49
    2694 15 유전학 웹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유전체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 / 송명선 2012  249
    2693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2692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49
    2691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에서의 생명공학 발명의 법적 보호/강준모 2013  249
    269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고통의 의미와 의사의 바람직한 대응 및 태도 / 유호종 2014  249
    2689 15 유전학 한국에서의 유전성 대사 질환에 대한 탄뎀 매스 검사의 경제성 분석 / 류형옥 2007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