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보건학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401706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초록 ( Abstract )

  • 과거에는 대부분의 사망이 자택에서 일어났으나, 현재 산업화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병원 및 시설에서의 사망이 보편화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택 사망률은 급감하여 2009년 현재 20%를 ...
  • 과거에는 대부분의 사망이 자택에서 일어났으나, 현재 산업화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병원 및 시설에서의 사망이 보편화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택 사망률은 급감하여 2009년 현재 20%를 하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지만, 사람들의 희망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여러 선행연구 및 본 연구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최소 절반 가량의 사람들은 여건만 충족된다면 자택에서 생의 마지막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한다. 병원 사망률의 과도한 증가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문제를 낳는다. 사망하는 환자나 그 가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회 전체의 의료비 부담도 가중시킨다. 때문에 일부 선진국에서는 병원 사망률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 혹은 시행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의 희망을 실현시켜 준다는 측면과, 가망 없는 말기 환자에게 행해지는 과도한 의료 이용을 억제함으로써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측면 때문이다. 일본, 영국, 미국, 캐나다 등 여러 나라의 사례는 정책적 개입을 통해 사람들의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의료비 절감의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단서를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자택 사망률 제고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논의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지만, 향후 이러한 정책 도입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첫째 자택에서 편안한 임종을 맞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의 희망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둘째 말기 환자들에게 요양의 장소 및 방법에 대한 선택권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셋째 말기 환자를 위한 인본주의적 배려 차원에서, 넷째 나날이 위축되어 가고 있는 일차의료기관의 역할을 강화하고 보건의료전달체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 다섯째 의료비 절감을 위해서 등이다. 이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는, 첫째 재택의료 서비스 제공 체계의 기본 틀의 구성, 둘째 재택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책정, 셋째 말기 재택 케어의 대상자 선정과 관련한 규정이나 절차의 마련, 넷째 사망진단서 통계와 다른 보건의료 통계를 연결하여 집계하는 시스템 마련, 다섯째 이와 관련된 연구용역 및 시범사업의 실시 추진 등이 있다. 이러한 정책의 추진은 대상자 선정과 관련한 명확한 절차 및 가이드라인의 마련, 환자 본인의 의사를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서의 사전 작성 등 몇 가지 장치를 마련한다는 전제 하에 특별한 법적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일차의료기관 등 의료공급자가 이 정책에 자발적으로 호응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건강보험 수가 책정 등이 이루어진다면 공급 인프라의 구축 측면에서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비록 현재보다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그 선택 자체는 온전히 말기 환자 본인 및 그 가족들에게 맡겨져야 하며, 그들에게 제공되는 말기 케어의 ‘수준’은 환자 및 가족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비용효과적이어야 하므로, 다양한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8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2013  68
    447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2018  68
    446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45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444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2018  68
    44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442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우경숙 외 2018  68
    441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44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8
    439 9 보건의료 누구를 위한 임상시험인가 / 김남희 2018  68
    438 12 낙태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문시영 2018  68
    437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전·후 진료비와 재원기간 비교 / 이고은 2018  68
    436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의 종합 관리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 김현호 2018  68
    435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2018  68
    434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진단의 활용과 형사책임 / 황만성 2007  68
    433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웹 기반 OLAP 서버 구현 / 김진혁 외 2017  68
    4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2004  68
    431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8
    43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8
    42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융합맵 생성 및 국가 프로파일 분석/김현우 외 201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