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법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252566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와 그 개선방안 : 서울지방법원 의료전담부 판례 중심 = (The) reason of delay on medical lawsuit and the improvement plan




초록 ( Abstract )

  • 본 논문은 의료소송 판결 중에서 2000년과 2001년 선고된 서울지방법원 민사합의부 판결문을 중심으로 과연 의료소송에 걸리는 기간은 얼마인지, 이를 지연이라고 볼 수 있는지, 만약 지연되...
  • 본 논문은 의료소송 판결 중에서 2000년과 2001년 선고된 서울지방법원 민사합의부 판결문을 중심으로 과연 의료소송에 걸리는 기간은 얼마인지, 이를 지연이라고 볼 수 있는지, 만약 지연되고 있다면 지연사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의료소송을 신속하게 종결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여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 사건별로 대법원 홈페이지에 들어가 ‘나의 사건검색’이라는 항목을 찾아 소 제기부터 판결까지 걸리는 기간, 각 증거신청부터 그 회신까지 걸리는 기간을 산정하여 통계데이타를 산출하였고, 이 통계데이타를 가지고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저긴 소송기간과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의료소송의 소송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이 된 판례 132건을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자료정리한 결과 소송기간은 평균 26.33월로 나타났고, 2001년 처리된 판례 중 1년 이내에 종결된 사건은 약 8%에 불과하였다. 반면 2001년 서울지방법원 합의부에서 처리한 사건 중 1년 이내에 끝나는 사건은 약 71%에 달하여 의료소송이 다른 민사소송에 비하여 지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에 대한 통계분석결과 진료과목 중 외과계가 내과계보다, 그리고 청구액이 많아질수록 소송기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고의 진료기록감정신청기간은 내과계보다는 외과계에서 더 늦은 것으로 나타났고, 청구액이 올라갈수록 피고가 증거신청을 하는 기간이 더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의료소송이 지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의사나 의료기관은 의료소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증거신청과 회신을 빨리 보내야 하며, 법원은 단순한 방관자의 역할이 아닌 적극적인 소송지휘자의 역할을 함으로써 전산시스템에 의한 기일 통제 등 의료소송이 빠른 시간 내에 종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드러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7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12
    26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0
    26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인식과 실천 조사 / 이윤영 2004  297
    »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와 그 개선방안 : 서울지방법원 의료전담부 판례 중심 / 신헌준 2004  257
    26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사윤리규약 내용분석 :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한국의사윤리 규약을 중심으로 / 권용진 2004  229
    262 18 인체실험 Oversight of Human Participants Research: Identifying Problems To Evaluate Reform Proposals 2004  75
    26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1
    260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46
    25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3
    25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25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43
    25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2004  318
    25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25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36
    253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252 9 보건의료 응급의료 수가체계 개선방안 /이윤태 2004  166
    251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과 공학윤리/김유신, 성경수 2004  257
    250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249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83
    248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