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법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616690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Knowledge, attitude, practice of physician's legal duty and medical law education





초록 ( Abstract )

  • 의료사고와 이에 따른 분쟁의 증가로 의료 분쟁은 이제 환자-의사 개인의 차원이 아닌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하지만 이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줄 수 있는 제도적 해결 방안은 크게 미흡...
  • 의료사고와 이에 따른 분쟁의 증가로 의료 분쟁은 이제 환자-의사 개인의 차원이 아닌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하지만 이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줄 수 있는 제도적 해결 방안은 크게 미흡하여 환자 측이나 의료계, 사회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나 이중가장 큰 문제점은 의사-환자 관계의 불신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국민 건강에 악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런 분쟁의 증가원인은 절대적인 수진 기회의 확대, 국민의 권리의식 신장, 경제적 보상심리 증가, 의료기관의 대형화에 따른 비인간화와 의사환자의 계약 적인 관계, 의료분쟁을 합리적으로 처리해 줄 제도의 부재, 의료인의 의료법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러 원인 중 교육에 의해 교정이 가능한 의료인의 법리 부족에 초점을 맞추어 현재의 의사들의 법적 의무와 의료분쟁관련 법리에 관한 지식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의 의료법 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의사교육의 기초자료로 삼고 이를 통하여 의료분쟁의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의료분쟁 다발과인 산부인과, 내과, 외과 의사와 의료분쟁 비다발과인 가정의학과 의사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 대면 설문조사 하였다. 이 중 모든 질문에 성실히 답변한 101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 의사면허 취득 년도, 전문의 취득 년도, 취업 종류, 의료분쟁 경험 유무, 의료분쟁에 대한 부담감, 방어진료 경험 유무, 의료법 분쟁에 대한 피교육 유무, 의료법 교육의 필요성과 원하는 형태와 주체, 의료분쟁 대비 방법, 마지막으로 의사의 법적 의무와 의료분쟁에 관한 법리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다.
    분석은 SPSS로 one way ANOVA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분쟁 경험 군은 전체의 34%였으며 합의로 처리한 경우가 62.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98%가 진료시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72.3%는 그로 인하여 방어 진료의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다. 의료분쟁에 대한 피교육은 74.3%가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2시간 미만인 경우가 48%로 가장 많았다. 100%의 의사가 의료법에 대한 교육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그 시기는 의과대학부터 실시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하지만 의료분쟁의 대비하는 방법에 관한 질문에서는 77.2%가 ‘없다’고 답하였으며 지식도를 묻는 문항에서 평균 정답률은 58%였다.
    지식도점수는 나이가 35세 이상일 때, 면허기간이 8년 이상인 경우, 전공의가 아닌 경우에 높았으며 의료 분쟁시에 비합법적 위협 경험이 있을수록, 피교육의 경험이 있을수록 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사들은 의료분쟁에 대한 상당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으나 그에 대한 대비는 거의 없는 상태이며, 법적 의무와 의료분쟁에 관한 법리에 대한 지식도는 낮으며 현재의 의료법 교육은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의료법에 대한 교육은 의과대학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하며 그 이 후 각과의 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보수교육에 이르기까지 교육 강화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러한 노력은 의료분쟁 예방의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8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47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446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2018  68
    4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444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우경숙 외 2018  68
    44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44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8
    441 9 보건의료 누구를 위한 임상시험인가 / 김남희 2018  68
    440 12 낙태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문시영 2018  68
    439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의 종합 관리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 김현호 2018  68
    438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진단의 활용과 형사책임 / 황만성 2007  68
    437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웹 기반 OLAP 서버 구현 / 김진혁 외 2017  68
    4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2004  68
    435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8
    434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8
    4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융합맵 생성 및 국가 프로파일 분석/김현우 외 2017  68
    432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2017  68
    431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에서의 헌법이론 -헌법질서의 확립과 가이드라인 시대의 서언 / 손형섭 2013  68
    430 2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칙 외 / 생명윤리 편집부 2015  68
    429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2013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