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법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252596 

의사의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인식과 실천 조사 = Survey of practic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doctor's duty of informed consent




초록 ( Abstract )

  • 설명·동의의무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로서 가지고 있는 도덕적 의무인 동시에 법적 의무이다. 의사-환자 관계의 계약적 성격 및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진료 현장에서...
  • 설명·동의의무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로서 가지고 있는 도덕적 의무인 동시에 법적 의무이다. 의사-환자 관계의 계약적 성격 및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진료 현장에서의 설명·동의의무는 더욱 그 의미가 강조되고 있다.
    기존의 설명·동의의무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가 법률적인 의미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진료 현장에서 직접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이 설명·동의의무에 관하여 어떠한 법적인 판단을 하며 얼마나 설명·동의의무를 실천해 나가고 있는가에 대하여는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료 현장에서의 의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의사의 법적 인식과 실천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설명·동의의무에 관한 기존의 연구 및 판례의 내용을 중심으로 진료 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례들을 정리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수련의, 군의관, 봉직의 및 개원의 93명을 대상으로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진료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경험 및 실천, 기존의 연구와 판례를 통해 살펴본 설명·동의의무에 관한 법적 기준과 의사의 법적 판단과의 차이, 설명·동의의무와 관련된 의료법학적 교육의 정도 및 교육의 경로에 관하여 조사하였으며, 설명·동의의무의 실천과 법적인 지식 정도와 교육 정도와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설문의 통계는 SPSS(ver10.0)를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및 분산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지식도 점수는 총 18점 중 평균 12.1(±2.31)점으로 법적 기준과 의사들의 법적 판단 사이에는 차이를 보였으며, 실천도 점수는 총 9점 중 평균 3.1(±2.28)점으로 진료 현장에서의 설명·동의의무의 실천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설명·동의의무에 관련된 의료법학적 내용의 교육에 있어서는 전체 사례에 대하여 19.7%의 교육률을 보여 충분한 교육을 받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설명·동의의무의 실천에 있어서는 수련의 집단이 봉직의 및 개원의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실천도 점수를 보였으며, 의료법학적 지식의 정도에 있어서는 봉직의 및 개원의와 군의관 집단에서 수련의에 비하여 지식 정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실천, 법적 지식, 교육과의 관계에서 교육의 정도는 법적 지식과 상당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교육의 정도 및 법적 지식은 설명·동의의무의 실천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설명·동의의무의 실천, 법적 지식, 교육의 정도에 있어 의료사고다발과와 비다발과 사이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설명·동의의무와 관련된 의사의 법적 판단은 기존의 연구 및 법원의 판례에서의 법적 기준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의사들에게 올바른 법적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건의료법학에 관한 지속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한편 진료 현장에서의 설명·동의의무의 실천 정도는 수련의 집단에서 봉직의 및 개원의 집단에서보다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의료법학적 지식 및 교육 정도와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설명·동의의무의 낮은 실천과 관련되어 있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발견해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진료 현장에서 적절한 설명·동의가 이행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해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8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2013  68
    447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2018  68
    446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45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444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2018  68
    44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442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우경숙 외 2018  68
    441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44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8
    439 9 보건의료 누구를 위한 임상시험인가 / 김남희 2018  68
    438 12 낙태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문시영 2018  68
    437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전·후 진료비와 재원기간 비교 / 이고은 2018  68
    436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의 종합 관리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 김현호 2018  68
    435 9 보건의료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임지연 외 2012  68
    434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2018  68
    433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진단의 활용과 형사책임 / 황만성 2007  68
    432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웹 기반 OLAP 서버 구현 / 김진혁 외 2017  68
    43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2004  68
    43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8
    429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