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동철학 69집 
관련링크 : http://ddpa98.org/tn/board.php?board=boo...y&no=2 

大同哲學會논 문 집
제69집 2014. 12.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경․이상목


* 이 논문은 大同哲學會2014년 추계 학술대회(“생명의료윤리의 현재와 미래”, 동아대학교 철
학생명의료윤리학과 공동주최, 동아대학교 2014. 12. 13)의 발표논문이다.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1. 머리말

2. 생명의료윤리학 분야의 잠재력

3. 생명의료윤리 특성화의 필요성

4. 생명의료윤리 특성화 목표

5. 생명의료윤리 특성화 교과과정 및 진출분야



요 약 문
이 글은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사례를 통해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을 논
의하고 있다. 철학이 모든 학문의 근원적인 학문이라는 것에 이견이 없고, 또한 철학 교육이 대
학에서 필요한 분야라는 것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철학의 학문
적 성격으로 인해 학생들이 졸업 후 당장 취업에 어려움을 겪게 됨으로써 철학과에 지망하는 것
을 꺼려하는 것이 철학과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
료윤리학과에서는 생명의료윤리 전공 특성화를 통해 학과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생명의료윤리학은 철학과 윤리학적 관점에서 생명과학과 보건 영역 내의 인간 행위에 대한
모든 문제를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그것의 학문적 잠재력은 엄청나게 크다. 또한 생명의료윤리학
은 이와 같은 이론적인 논의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료현장과 보건정책당국 그리고 입법부
와 사법부 등의 법률 기관, 생명의과학 연구자들의 임상시험 등에서 필요로 하는 생명윤리 원칙
과 법, 규정 등을 연구한다. 아울러 사회의 많은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생명의료윤리 전문가들을
양성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이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는 생명의료윤리 전공 특성화를 통해 철학․윤리적 지식 및 사고
능력을 함양하고 생명의료윤리 이론과 실무를 배양함으로써 철학․윤리적 지식 및 사고 능력을
갖춘 생명의료윤리 실무에 능통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서 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은 1학년에서 철학과 생명의료윤리의 기초과정을 이수하고 2학
년부터 생명의료윤리 핵심 과정을 이수하며 동시에 일반 철학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한
다. 생명의료윤리 전공 특성화 교과 과정은 기초 학문교육과 생명의료윤리 전문 및 실무 교육으
로 구분되는데, 기초 학문교육은 주로 철학, 윤리학, 생명의료윤리학과 같은 이론적인 내용으로
구성되며, 생명의료윤리 전문 및 실무교육은 IRB 기관과 임상시험을 필요로 하는 제약 회사,
CRO와 같은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생명의료윤리 연구 분
야의 확대 및 바이오산업의 활성화로 인하여 생명의료윤리 관련 기관과 생명의료윤리 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학생들의 졸업 후 진출 분
야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 주요어: 생명의료윤리학, 특성화 전공, 실천윤리, 임상시험, 기관 생명윤리위원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888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5
3887 12 낙태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김효신 외 2018  95
3886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정다운 2017  95
3885 9 보건의료 사례 중심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교재 개발 / 박남미 2018  95
38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특허침해에 따른 책임 / 김용주 2018  95
3883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95
3882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2018  95
3881 9 보건의료 감염 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 의료 환경에 대한 고찰 - 근거 기반의 디자인 중심으로 / 한수하 외 2018  95
3880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5
3879 9 보건의료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2019  95
3878 18 인체실험 The Proposed Rule for U.S. Clinical Trial Registration and Results Submission/Deborah A. Zarin 2015  96
3877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3876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3875 9 보건의료 다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설계 / 김용현 2017  96
3874 9 보건의료 의료법 등의 리베이트규제와 청탁금지법(김영란법) / 김기영 2016  96
3873 9 보건의료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의 의약품 관련 정책 변화 예측 및 한국에의 시사점 / 손경복 2017  96
3872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38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3870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장세균 2017  96
386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