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6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81642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초록 ( Abstract )

  •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 개발과 더불어 개발도상국이나 재난 현장에 인도주의적 보건의료활동을 지원하는 정부기관과 민간의료단체의 정기적인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이 급증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 개발과 더불어 개발도상국이나 재난 현장에 인도주의적 보건의료활동을 지원하는 정부기관과 민간의료단체의 정기적인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이 급증하고 있다.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필수적인 의약품의 선정, 보관, 관리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약사의 역할과 약제서비스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이제는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 활동 중 시행되는 의약품의 분배와 소규모 의약품 기증이 세계보건기구 (WHO)의 의약품 기증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제기준에 적합한 의약품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신중히 점검해 볼 시점이다. 본 연구는 국제기준의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가 제공할 수 있는 약제서비스를 정리하고,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국제기준에 적합한 표준화된 의약품 지원체계와 약제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국제기준의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과 약제서비스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정리한 후,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과 약제서비스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비교제도론적으로 분석하였다.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는 의약품의 선정, 보관, 조제, 대체 의약품 제안, 약물정보제공, 복약상담, 약국의 배치와 조제업무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약사의 중재로 처방, 조제, 투약의 오류와 환자의 약물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약사의 전문성을 갖춘 국외단기보건 의료 활동은 지역 주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약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준비단계에서의 의약품 선정은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하여 대상 국가가 허용하고, WHO가 제시하는 필수의약품으로 선정해야 한다.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비감염성 질환에 대한 의약품은 현지에서 구입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둘째, 현지활동단계에서 약국은 환자의 진료 동선의 마지막 순서에 위치 하고, 조제, 포장, 검수, 투약, 복약상담 순으로 배치한다. 의약품의 조제는 투약용 지퍼백이나 투약병을 사용하고, 표준화된 라벨을 부착한다. 복약지도 는 현지인 통역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복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약사는 일반적인 의약품 선정, 조제, 투약, 복약지도와 같은 약제서비스뿐 만 아니라, 긴급재난구호활동, 감염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 여성생식보건관리, 정신건강관리, 비감염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를 위한 약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셋째, 마무리단계에서 현지 의료기관에 소량의 의약품을 기증할지라도, WHO 의약품 기증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필수의약품으로 표준화된 라벨을 부착하여 기증한다. 모든 의약품은 유효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하고, 환자 에게 투약 후 반환되었거나, 무료 샘플의약품은 기증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불필요한 의약품의 안전한 폐기를 위해 WHO의 가이드라인에 따른다.끝으로 지속적인 보건의료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외단기보건의료 활동에서 현지 의료인들에게 전문의료기술을 전수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보건 교육을 시행하여, 지역 보건을 스스로 책임질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1
    25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 위계찬 2012  639
    24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23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0
    22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1
    2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20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3
    19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0
    18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88
    17 9 보건의료 의약품 자료 보호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박현정 2017  262
    1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15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14 1 윤리학 첨단치료 의료제품(ATMP)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법 고찰 / 박수헌 2014  232
    »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조상은 2014  229
    1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연구자의 주의의무 / 김수영 2015  206
    11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199
    10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48
    9 9 보건의료 위험분담제도의 국내보험제도 안착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한 고찰 / 이상은 2016  131
    8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2
    7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