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간호행정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03015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Clinical Nurses‘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 저자 : 기은희
  • 형태사항 : v, 6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임난영
    국문요약: p. i-ii.
    Abstract: p. 66-68.
    부록: 1.설문지, 2.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참고문헌 : p.50-5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간호행정 전공 2008.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의료행정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중재, 전문직업성 향상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중재, 전문직업성 향상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008년 4월24일부터 4월 29일 사이에 서울시에 위치한 S 대학병원에서 편의표집한 12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PC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는 총점 4점 중 평균 2.15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에서 간호사와 전문직 업무(2.28점), 간호사와 협동자(2.15점), 간호사와 대상자와의 관계(2.05점), 생명존중 및 인간의 권리 존중(2.00점)순으로 딜레마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업성은 총점 5점 중 평균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공공봉사심(3.61점), 전문조직에의 준거성(3.52점), 자율성(3.50점), 자기통제에 대한 믿음(3.47점), 소명의식(3.04점)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윤리 관련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전문직업성과의 관계는 최종학력과 근무부서에 있어서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최종 학력은 대학원 재학 이상 그룹이 4년제 졸업 그룹에 비해 높은 전문 직업성을 갖고 있었으며, 근무부서에서는 내과계병동, 외과계병동과 중환자실 근무자가 수술실 근무자에 비해 높은 전문 직업성을 갖고 있었다. 특히 수술실 근무자는 자율성에서 다른 부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는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는 기존의 연구보다 평균평점은 낮았으나 윤리적 딜레마의 하부영역에서는 여전히 비슷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사례별 교육과 윤리강령에 대한 교육도 연계되어야 할 것이며, 항상 환자가 모든 판단의 중심에 있어야 함을 간호사와 협동자 모두가 함께 공유할 때 서로에 대한 배려로 환자를 중심으로 간호와 치료가 이루어져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정 수준의 인력확보와 개인의 업무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직업성에 있어서 간호사들의 전문인으로의 성장에 반해 소명의식은 쇠퇴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일에 대한 만족감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는 업무환경과 경제적 보상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술실 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이 다른 부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수술실의 업무 특성을 고려한 전문직으로서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 ⅰ

    표목차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4

    3. 용어의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1. 윤리적 딜레마 = 7

    2. 전문직업성 = 13

    Ⅲ. 연구방법 = 19

    1. 연구설계 = 19

    2. 연구대상 = 19

    3. 연구도구 = 19

    4. 자료수집 기간 및 절차 = 20

    5. 자료 분석 방법 = 20

    Ⅳ. 연구 결과 = 2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윤리 관련 특성 = 22

    2.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 25

    3.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 27

    4. 일반적 특성과 윤리 관련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의 차이 = 31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 직업성의 차이 = 34

    6.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37

    Ⅴ. 논의 = 38

    1. 대상자의 윤리 관련 특성 = 38

    2.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 39

    3.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 42

    4.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45

    Ⅵ.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50

    부록1 설문지 = 56

    부록2 = 63

    ABSTRACT = 66

    감사의 글 =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87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2008  148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2008  877
    58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1
    584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5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58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2008  650
    581 18 인체실험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 임인애 2008  276
    58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2008  139
    57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포기(DNR)에 대한 간호장교들의 인식 및 경험조사 / 주명하 2008  632
    578 1 윤리학 덕의 함양과 실천에 관한 연구 : 현대 윤리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맥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남경부 2008  606
    57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576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57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2008  328
    574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이하얀 2008  437
    573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572 8 환자 의사 관계 장애아의 출생과 의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황덕영 2008  311
    571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570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569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체세포복제배아(SCNT) 정당성 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김경순 2008  676
    56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의사의 탈전문화에 관한 연구 / 박호진 2008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