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간호행정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03015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Clinical Nurses‘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 저자 : 기은희
  • 형태사항 : v, 6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임난영
    국문요약: p. i-ii.
    Abstract: p. 66-68.
    부록: 1.설문지, 2.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참고문헌 : p.50-5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간호행정 전공 2008.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의료행정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중재, 전문직업성 향상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중재, 전문직업성 향상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008년 4월24일부터 4월 29일 사이에 서울시에 위치한 S 대학병원에서 편의표집한 12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PC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는 총점 4점 중 평균 2.15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에서 간호사와 전문직 업무(2.28점), 간호사와 협동자(2.15점), 간호사와 대상자와의 관계(2.05점), 생명존중 및 인간의 권리 존중(2.00점)순으로 딜레마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업성은 총점 5점 중 평균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공공봉사심(3.61점), 전문조직에의 준거성(3.52점), 자율성(3.50점), 자기통제에 대한 믿음(3.47점), 소명의식(3.04점)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윤리 관련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전문직업성과의 관계는 최종학력과 근무부서에 있어서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최종 학력은 대학원 재학 이상 그룹이 4년제 졸업 그룹에 비해 높은 전문 직업성을 갖고 있었으며, 근무부서에서는 내과계병동, 외과계병동과 중환자실 근무자가 수술실 근무자에 비해 높은 전문 직업성을 갖고 있었다. 특히 수술실 근무자는 자율성에서 다른 부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는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는 기존의 연구보다 평균평점은 낮았으나 윤리적 딜레마의 하부영역에서는 여전히 비슷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사례별 교육과 윤리강령에 대한 교육도 연계되어야 할 것이며, 항상 환자가 모든 판단의 중심에 있어야 함을 간호사와 협동자 모두가 함께 공유할 때 서로에 대한 배려로 환자를 중심으로 간호와 치료가 이루어져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정 수준의 인력확보와 개인의 업무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직업성에 있어서 간호사들의 전문인으로의 성장에 반해 소명의식은 쇠퇴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일에 대한 만족감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는 업무환경과 경제적 보상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술실 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이 다른 부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수술실의 업무 특성을 고려한 전문직으로서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 ⅰ

    표목차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4

    3. 용어의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1. 윤리적 딜레마 = 7

    2. 전문직업성 = 13

    Ⅲ. 연구방법 = 19

    1. 연구설계 = 19

    2. 연구대상 = 19

    3. 연구도구 = 19

    4. 자료수집 기간 및 절차 = 20

    5. 자료 분석 방법 = 20

    Ⅳ. 연구 결과 = 2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윤리 관련 특성 = 22

    2.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 25

    3.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 27

    4. 일반적 특성과 윤리 관련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의 차이 = 31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 직업성의 차이 = 34

    6.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37

    Ⅴ. 논의 = 38

    1. 대상자의 윤리 관련 특성 = 38

    2.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 39

    3.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 42

    4.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45

    Ⅵ.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50

    부록1 설문지 = 56

    부록2 = 63

    ABSTRACT = 66

    감사의 글 =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8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34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2000  872
    346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73
    34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76
    34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2011  876
    343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2008  877
    34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79
    34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생명윤리 체험 / 이경숙 2013  881
    33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2016  883
    338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2018  885
    337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336 1 윤리학 인공지능 발달에 따른 윤리학의 필요성 연구 / 이기훈 2018  891
    335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33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2
    333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33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박상은 2018  892
    33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3
    330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329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