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376129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Analysis of decision-making in ethical dilemma cases among clinical nurses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
  • 본 연구는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중환자실에 근무중이거나 과거에 중환자실 근무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1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4월 10일부터 5월 10일까지였고, 자료수집 방법은 간호부서의 동의를 받아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면담법과 구조화된 면담조사지를 사용하였다. 면담장소는 피면담자가 근무하는 중환자실이나 병동의 간호사 휴게실을 사용하였고, 면담시간은 1회 평균 40분 정도로 총 면담횟수는 3회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연구의 자료분석 절차를 참고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4개의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시에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Value)와 되고자 하는 바람직한 간호사의 모습(Be)과 행해야한다고 생각하는 행동(Do)에 대한 의사결정을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의사결정 과정의 일관성을 파악한 결과 딜레마 사례별로 간호사의 대부분은 Value, Be, Do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의사결정을 하였는데 전체 사례에서 총 8명의 간호사들이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고, 사례별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한 간호사를 보면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에서는 3명, 말기환자에게 사실 말하기 사례에서는 1명, 의료진과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서는 3명,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서는 3명의 간호사가 있었다. 간호사 개인별로 보았을 때는 한 명의 간호사가 3개의 딜레마 사례에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다.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의 경우에서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과 행동이 연계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은 연계되었으나 행동으로 통합되지 않는 경우 등이 있었다.
    가치(Value)와 모습(Be)과 행동(Do)의 의사결정 내용을 분석하여 도출된 Value, Be, Do의 중심개념은 사례별로 다음과 같았다.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의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적극적 처치의 무의미성, 인간의 존엄성, 가족의 부담 경감, 환자와 보호자 존중, 환자 · 보호자 · 치료진간의 합의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시 개념은 충실한 직무수행, 불필요한 연명술 중단, 의료진과 협동, 환자 · 보호자 옹호, 가족과 의사 설득 등이었다.
    말기 환자에게 사실을 말해야 하는 경우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의 알권리, 생을 정리할 기회, 환자 · 보호자 존중,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와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사실알리기, 환자와 가족의지지, 보호자와 의사 설득, 호스피스 간호 제공, 보호자의 요구존중, 보호자와 환자간에 대화 중재 등이었다.
    의료진과의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존중, 생명존중, 협동관계, 환자와 보호자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협력자, 옹호자, 제안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의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충실한 직무 수행, 대화로 타협, 공식적 대화채널 이용, 의료진과 협동, 환자 배려 등이었다.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합법성, 인간의 존엄성, 정직성,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환자요구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 준법자, 중개자,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 행동(Do)의 중심개념은 허위기록 거부, 의료진과 협동, 의사잘못 묵인, 적극적인 안락사 반대, 상관에게 보고 등이 있었다.
    Value, Be, Do의사결정 모형의 적용에 대한 평가에서 간호사들은 딜레마 상황에서 의사결정 시에 일관된 가치관을 수립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수행하고 갈등상황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앞으로 간호사들이 명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간호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졸업 후 보수교육을 통해 계속적인 윤리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겠고, 의사결정 시에 윤리적으로 옳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수 있도록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의 임상 적용이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목차 ( Index )

    목차 = ⅰ

    표차례 = iii

    부록차례 = iii

    국문요약 = iv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정의 = 3

    II. 문헌고찰 = 5

    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 5

    2.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 7

    3.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 = 9

    III. 연구방법 = 12

    1. 연구설계 = 12

    2. 연구대상자 = 12

    3. 연구도구 = 14

    4. 자료수집 절차 = 15

    5. 자료분석 = 16

    IV. 연구결과 = 17

    1.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 분석 = 17

    1)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 17

    2) 말기환자에게 사실을 말해야 하는 경우 = 22

    3) 의료진과의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 26

    4) 임종환자와 안락사 = 31

    2. Value, Be, Do 의사결정의 중심개념 = 35

    3. Value, Be, Do 의사결정모형 적용에 대한 평가 = 40

    V. 논 의 = 43

    1.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 분석 = 43

    2. Value, Be, Do 의사결정의 중심개념 = 52

    3. Value, Be, Do 의사결정모형 적용에 대한 평가 = 57

    VI. 결론 및 제언 = 59

    1. 결론 = 59

    2.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67

    영문초록 = 9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548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26
    454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2011
    454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
    4545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2000
    4544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45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60
    4542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916
    4541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5
    4540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 설민신 2016  1856
    4539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5
    4538 22 동물복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칸트의 입장 / 김학택 2018  1757
    4537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45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6
    4535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2018  1714
    4534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697
    4533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94
    4532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53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5
    453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47
    4529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