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376129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Analysis of decision-making in ethical dilemma cases among clinical nurses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
  • 본 연구는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중환자실에 근무중이거나 과거에 중환자실 근무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1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4월 10일부터 5월 10일까지였고, 자료수집 방법은 간호부서의 동의를 받아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면담법과 구조화된 면담조사지를 사용하였다. 면담장소는 피면담자가 근무하는 중환자실이나 병동의 간호사 휴게실을 사용하였고, 면담시간은 1회 평균 40분 정도로 총 면담횟수는 3회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연구의 자료분석 절차를 참고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4개의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시에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Value)와 되고자 하는 바람직한 간호사의 모습(Be)과 행해야한다고 생각하는 행동(Do)에 대한 의사결정을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의사결정 과정의 일관성을 파악한 결과 딜레마 사례별로 간호사의 대부분은 Value, Be, Do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의사결정을 하였는데 전체 사례에서 총 8명의 간호사들이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고, 사례별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한 간호사를 보면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에서는 3명, 말기환자에게 사실 말하기 사례에서는 1명, 의료진과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서는 3명,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서는 3명의 간호사가 있었다. 간호사 개인별로 보았을 때는 한 명의 간호사가 3개의 딜레마 사례에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다.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의 경우에서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과 행동이 연계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은 연계되었으나 행동으로 통합되지 않는 경우 등이 있었다.
    가치(Value)와 모습(Be)과 행동(Do)의 의사결정 내용을 분석하여 도출된 Value, Be, Do의 중심개념은 사례별로 다음과 같았다.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의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적극적 처치의 무의미성, 인간의 존엄성, 가족의 부담 경감, 환자와 보호자 존중, 환자 · 보호자 · 치료진간의 합의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시 개념은 충실한 직무수행, 불필요한 연명술 중단, 의료진과 협동, 환자 · 보호자 옹호, 가족과 의사 설득 등이었다.
    말기 환자에게 사실을 말해야 하는 경우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의 알권리, 생을 정리할 기회, 환자 · 보호자 존중,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와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사실알리기, 환자와 가족의지지, 보호자와 의사 설득, 호스피스 간호 제공, 보호자의 요구존중, 보호자와 환자간에 대화 중재 등이었다.
    의료진과의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존중, 생명존중, 협동관계, 환자와 보호자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협력자, 옹호자, 제안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의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충실한 직무 수행, 대화로 타협, 공식적 대화채널 이용, 의료진과 협동, 환자 배려 등이었다.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합법성, 인간의 존엄성, 정직성,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환자요구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 준법자, 중개자,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 행동(Do)의 중심개념은 허위기록 거부, 의료진과 협동, 의사잘못 묵인, 적극적인 안락사 반대, 상관에게 보고 등이 있었다.
    Value, Be, Do의사결정 모형의 적용에 대한 평가에서 간호사들은 딜레마 상황에서 의사결정 시에 일관된 가치관을 수립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수행하고 갈등상황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앞으로 간호사들이 명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간호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졸업 후 보수교육을 통해 계속적인 윤리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겠고, 의사결정 시에 윤리적으로 옳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수 있도록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의 임상 적용이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목차 ( Index )

    목차 = ⅰ

    표차례 = iii

    부록차례 = iii

    국문요약 = iv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정의 = 3

    II. 문헌고찰 = 5

    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 5

    2.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 7

    3.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 = 9

    III. 연구방법 = 12

    1. 연구설계 = 12

    2. 연구대상자 = 12

    3. 연구도구 = 14

    4. 자료수집 절차 = 15

    5. 자료분석 = 16

    IV. 연구결과 = 17

    1.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 분석 = 17

    1)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 17

    2) 말기환자에게 사실을 말해야 하는 경우 = 22

    3) 의료진과의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 26

    4) 임종환자와 안락사 = 31

    2. Value, Be, Do 의사결정의 중심개념 = 35

    3. Value, Be, Do 의사결정모형 적용에 대한 평가 = 40

    V. 논 의 = 43

    1.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 분석 = 43

    2. Value, Be, Do 의사결정의 중심개념 = 52

    3. Value, Be, Do 의사결정모형 적용에 대한 평가 = 57

    VI. 결론 및 제언 = 59

    1. 결론 = 59

    2.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67

    영문초록 = 9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 보건의료 방사선 분야의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등재 현황에 관한 연구 / 조영권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교육 / 송동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건강보험의 이념과 의료정책 / 이규식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15 유전학 유전정보 국외이전에 따른 국내 헬스케어산업보안 법제의 취약성 고찰 / 이보형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IVF-ET) 실패 환자에게 IVF-ET 재 시술 시 한약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 / 배주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의 미래전략 / 김기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향한 모성론과 재생산 구조의 여성주의적 고찰 / 이경애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프로세스 / 김현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4 재생산 기술 모자 건강보호를 위한 난임부부 지원사업 개선방안

    발행년 2015 

    • 조회 수 66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발행년 2013 

    • 조회 수 66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폰 환경에서 공인인증서 사용 시 소유 및 생체인증 연동 방법 / 김선종

    발행년 2015 

    • 조회 수 66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유은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자동 정밀 진단 시스템의 현재와 미래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발행년 2012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발행년 2009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