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88764 

임상시험 참여용 승낙서(assent form)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이해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저자 : 임수정
  • 형태사항 : vi, 92 p. : 천연색삽화.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권복규
    참고문헌: p. 67-73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2014. 2. 졸업
  • DDC : 10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아승낙서 등을 참고하여 가상 소아승낙서를 작성한 후에 소아에게 제시하고 학년에 따른 승낙서의 평균적 이해도와 이해도 차이를 알아보...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아승낙서 등을 참고하여 가상 소아승낙서를 작성한 후에 소아에게 제시하고 학년에 따른 승낙서의 평균적 이해도와 이해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서 승낙은 부모가 자녀를 대신해서 행사하는 대리 동의를 보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 부모가 얼마나 기꺼이 자신의 자녀를 참여시키고자 하는지도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어린이들에게는 가상 소아승낙서를 제시 후 이해도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부모들에게는 임상시험 참여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해도 테스트 및 설문조사 결과는 SPSS v. 18.0을 이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해도 테스트에서는 승낙서에 대한 이해도의 차이는 학년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영역별 분석에서 연구목적, 위험 및 안전성 정보, 연구 참여 자발성, 연구 참여 철회, 비밀보장, 연락처 정보 영역이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에서는 임상시험 참여 의사에서는 임상시험이더라도 경우에 따라 부모가 자신의 자녀를 참여시킬 의사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하나의 초등학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가 일반화하여 대표성을 띤다고 할 수 없으며, 연구진행 시에 연구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하지 못했으며, 연구대상이 건강한 초등학생으로 실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질병에 이환된 어린이들의 이해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목차 ( Index )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4

    II. 이론적 배경 5

    A. 소아 대상 의학 연구의 역사 5

    B. 소아의 연구 참여에 대한 윤리적 입장 9

    C. 부모의 허락(permission)과 소아의 승낙 12

    D. 승낙과 연구대상 소아의 이해력 20

    III.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검사도구 23

    C. 연구절차 25

    D. 소아승낙서의 이해도 계산방법 26

    E. 자료분석방법 27

    IV. 연구결과 28

    A. 자료수집 결과 28

    B. 소아의 이해도 조사 29

    C. 부모의 인식조사 48

    V. 결론 및 논의 62

    A. 결과 요약 및 논의 62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6

    참고문헌 67

    부록 74

    Abstract 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68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3
    456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11
    456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456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15
    4564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4563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4562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49
    4561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7
    4560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5
    4559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4558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6
    455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203
    4556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64
    4555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3
    4554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47
    4553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35
    4552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4
    4551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4550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64
    45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