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Vol.13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84555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The disabled child support policy in consider of health and medical law system -Focusing on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초록 ( Abstract )

  • 장애아동은 아동임과 동시에 장애인이라는 이중적인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장애아동은 아동 또는 성인장애인과는 다른 장애아동의 특성을 반영한 그들만의 복지적 욕구...
  • 장애아동은 아동임과 동시에 장애인이라는 이중적인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장애아동은 아동 또는 성인장애인과는 다른 장애아동의 특성을 반영한 그들만의 복지적 욕구와 권리가 법적으로 보호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2012년 「장애아동복지지원법」이 시행되었고, 보건복지부에서는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장애아동의 재활치료를 지원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장애아동재활치료사업”을 시작하였으며, 현재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 21조에 근거를 두고 “발달재활서비스사업“으로 개칭하여 계속하여 사업을 진행 중이다. 본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필수적인 재활치료에 대한 장애아동과 그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바우처를 발행하고 지정된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바우처를 사용하여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지원시장논리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기관이 서로 경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아동들은 금전적 지원과 동시에 치료기회의 확대라는 지원도 동시에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재활치료 제공기관의 수가 늘어나면서 장애아동들은 좀 더 수월하게 재활치료를 접할 수 있게 되었지만 본 사업에는 아직 보완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 먼저 장애아동에게 제공되는 발달재활서비스 중 우리나라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할 때 그 제공 주체 여러 가지 재활치료들 중에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는 의사의 지도가 필요한 의료행위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둘을 제외한 심리치료, 미술치료, 행동치료 등 비 의료적 성격의 재활치료만을 본 사업에서 지원하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주체들을 중심으로 이 사업이 문제점 내지는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정책 목표와 대상을 검토하였으며 다른 사회복지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공 주체가 국가에서 민간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상과 그 의의를 살펴 궁극적으로 장애아동에게는 안정적인 재활치료와 양질의 재활치료가 제공될 수 있기 위한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제안들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사회복지 서비스의 사적화는 시장 논리에 기대어 재활치료서비스 제공을 확대한다는 긍정적인 의의가 있지만 그러한 재활치료시장에 대한 관리 및 감독은 여전히 국가의 몫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28 9 보건의료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박정일 2015  266
    2827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2826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282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282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65
    2823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2822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2821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2820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4
    2819 9 보건의료 의약품 자료 보호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박현정 2017  264
    281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형사책임과 책임주의/이인영 2017  264
    2817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64
    2816 9 보건의료 의사의 불성실한 진료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전병남 2014  264
    281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상 의료기관 개설제한의 위반유형에 관한 연구/김준래 2014  264
    2814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4
    2813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재생의학의 기술경쟁력 평가- 특허분석을 중심으로/안두현, 정교민, 신율 2006  264
    281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3
    2811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2810 9 보건의료 미용성형의료 - 우리 판결례와 독일 판결례의 비교·분석적 소고 -/안법영 2015  263
    2809 9 보건의료 약사법상 의약품 동정적 사용제도 / 강한철 2013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