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5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 Vol.79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26265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Medical Direction and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초록 ( Abstract )

  • 의료법은 제27조에 의해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으며 의료인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의 ...
  • 의료법은 제27조에 의해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으며 의료인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응급의료법에서는 응급구조사 제도를 두고 있다. 응급구조사는 위 의료법 제27조 규정에도 불구하고,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응급환자에 대하여 상담ㆍ구조 및 이송업무를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범위 안에서 행하며, 이 때 응급구조사는 의사로부터 구체적인 지시를 받아야 한다. 응급의료법 상의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는 매우 제한되어 있어 현장에 의료진이 입회할 수 없는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의 특성과 긴급성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에게 필요한 충분한 응급처치가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구조사의 무면허의료행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의료지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의료지도를 현실화 할 수 있는 법정책적인 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를 넘어선 중환자용 구급차 도입과 전문응급처치 시행에 대하여 긴급피난이나 기존 판례의 입장과 같이 ‘특별한 사정’ 을 고려하여 위법성이 조각되는지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의료지도

    Ⅲ. 응급구조사의 무면허 의료행위와 의료지도

    Ⅳ. 의료지도자와 피의료지도자의 법률적 관계와 책임

    Ⅴ.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3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2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192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발행년 2010 

    • 조회 수 1987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6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3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발행년 2002 

    • 조회 수 137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발행년 2004 

    • 조회 수 894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발행년 2010 

    • 조회 수 143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0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발행년 2008 

    • 조회 수 129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3

    9 보건의료 1개 3차 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실태 및 효과 / 정시영, 배현아, 어은경

    발행년 2009 

    • 조회 수 47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 임승희, 신애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1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발행년 2011 

    • 조회 수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