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현대중국연구 Vol.12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11737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Contents : Mental Health Care as a Field of Hegemonic Contestation: An Ethnographic Study on Suicide Prevention Approaches of a Feminist NGO and a Psychiatrist Group in Reform China





초록 ( Abstract )

  • 2003년 사스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들어 중국 사회의 건강, 질병, 의료의 문제는 의학적 차원을 넘어 개혁정부의 정치행정과 안보문제, 나아가 경제활동의 성격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
  • 2003년 사스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들어 중국 사회의 건강, 질병, 의료의 문제는 의학적 차원을 넘어 개혁정부의 정치행정과 안보문제, 나아가 경제활동의 성격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1999년 세계보건기구의 발표 이후, 중국의 자살문제를 둘러싸고 두 사회 집단-NGO 농가녀문화발전중심과 북경심리위기연구예방중심-이 중국 내 자살문제의 진단과 예방에 관한 헤게모니를 둘러싸고 경합해 온 지점과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농가녀문화발전중심은 전국부련의 여성주의적 관점 및 대중 활동의 전통 속에서 농촌 여성의 자살 및 이들의 성차별 적 상황에 초점을 두고 마을 공동체에 기반한 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반면, 북경심리위기연구예방중심은 서구의 생의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자살자 개인의 정신병리학적 원인에 주목해왔으며 약물치료와 상담치료를 포함한 정신의학적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흥미로운 점은 2000년대 초반까지 자살문제의 공론화 및 예방프로그램 마련에 있어 상호 공조적인 관계를 유지하던 두 집단이 2003년 중반 중국 정부가 정신의학적 관점을 축으로 하는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분열을 겪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정부의 선택은 국제적 압력 및 근대화의 요구, 그리고 정치적 위험 모면이라는 다면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정부, NGO 및 의료전문가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중국 사회 내 자살에 대한 헤게모니적 이해방식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으로부터 점차 개인적이고 의학적인 내용으로 변화해왔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3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5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51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50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4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19
    47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45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4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43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42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41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40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39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6
    38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2
    3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3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조상은 2014  229
    35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34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