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민법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507905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민사책임 = Doctors' civil liability for violation of the obligatory explanation


  • 저자 : 이태섭
  • 형태사항 : x, 139 p. ; 26 cm.
  • 일반주기 :

    國文抄錄: p. ix-x
    Abstract: p. 138-139
    설명적 각주 수록
    지도교수: 이덕환
    參考文獻: p. 128-137
    서지적 각주 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민법전공 2011.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1
  • 주제어 : 법학



초록 ( Abstract )

  • 미국⋅독일 등에서 일찍이 문제되고 있던 의사의 설명의무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의료과오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설명의무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소송이 ...
  • 미국⋅독일 등에서 일찍이 문제되고 있던 의사의 설명의무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의료과오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설명의무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소송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하여 자연히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손해배상책임문제를 다룬 판례가 많이 나오게 되었으며, 학계에서도 이 문제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료행위는 환자의 신체침습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의사의 과실에 의하여 환자가 사망하거나 상해를 당하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 진료에 앞서 환자에게 진료에 따른 위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이른바 설명의무를 부담한다. 이러한 의사의 설명의무는 의료계약상의 독립적인 부수의무로서, 만약 의사가 이 의무를 위반하면 계약상의 채무불이행책임과 더불어 신체침해를 구성요건으로 하는 불법행위책임을 지게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학설과 판례에서 가장 논란의 초점이 되고 있는 것은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문제이다. 물론 통설과 판례에서는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재산적⋅정신적 손해 모두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인정근거에 대하여는 학설상의 견해가 대립하고 있으며, 특히 대법원 판례에서는 설명의무위반과 발생한 악결과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어야 하고, 또한 설명의무위반의 정도가 진료상의 과실의 전제가 되는 주의의무위반의 그것과 동일할 것을 요구함으로서 실질적으로 재산적 손해배상은 인정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학설과 판례에서의 견해의 난립은 의사의 설명의무법리를 오해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의사가 설명의무를 위반하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이라는 보호법익이 침해되고, 그 결과 환자의 신체적 완전성이라는 보호법익도 침해되는 것이다. 즉 이 경우에는 환자의 보호법익이 이중으로 침해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결정권이라는 인격권의 침해나, 또는 신체적 완전성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뿐만 아니라 신체적 완전성의 침해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산적 손해도 함께 배상되어야 한다. 그리고 신체적 완전성이 침해되지 않고 자기결정권만이 침해된 경우에는 의료계약상의 설명수령자인 환자만이 위자료 청구권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환자의 신체적 완전성이 침해되어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에는 제752조에 의하여, 그리고 상해를 당한 경우에는 제752조의 확대적용에 의하여 환자 뿐만 아니라 그 가족들도 위자료청구권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한편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입증책임은 어디까지 설명의무를 부담하고 있는 의사 자신이 필요한 설명을 다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의사에게 입증책임이 전환되어 있는 것이다.
    앞으로는 우리나라에서도 미국⋅독일 등에서와 같이 의료과오소송에서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을 이유로 소송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의료과오소송에서 피해자의 합리적인 구제를 위한 의사의 설명의무법리의 확립이 시급히 요청된다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08 18 인체실험 신문의 방송비평기사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사건’ 방송보도에 대한 일간지의 비평기사를 중심으로 / 나영지 2009  113
    350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3
    3506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113
    3505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3504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시판 후 조사와 리베이트 / 박수헌 2016  113
    3503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3502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3
    3501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3500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3
    349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3498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34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3496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2017  113
    349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3
    3494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3
    3493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3492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형석 외 2016  113
    3491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3490 16 환경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환경관리 체계로의 전환 / 이은환 외 2019  113
    3489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