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67584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환자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저자 : 권세희
  • 형태사항 : iii, 37 p. : 삽도,챠트;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35-36
    설명적,서지적 각주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2009. 2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초록 ( Abstract )

  • 20세기 이후 연명치료기술의 발달로 치료가 더 이상 무의미한 환자들의 생명을 지속적으로 연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로인해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더 이상의 무의미한 치료를 하는 ...
  • 20세기 이후 연명치료기술의 발달로 치료가 더 이상 무의미한 환자들의 생명을 지속적으로 연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로인해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더 이상의 무의미한 치료를 하는 것은 옳은가라는 질문이 제기되면서 연명치료중단의 필요성이 주장되었다. 그리고 만약 회복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연명치료중단이 가능하다면, 환자의 죽음에 대한 결정에 있어 선택권은 누구에게 있는 가에 대한 문제도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환자와 의사뿐 아니라 가족들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 중 무엇보다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환자 스스로의 의사결정권이며, 이를 존중하고 보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사전의료지시서의 제도적 정착이 필요하며, 존엄한 죽음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문화의 형성이 마련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 1

    Ⅱ. 연명치료중단의 필요성과 의미 = 4

    1. 연명치료중단의 필요성 = 4

    2. 연명치료중단의 의미 = 8

    가. 연명치료중단 = 8

    나. 무의미한 치료 = 9

    다. 심폐소생술금지 = 12

    Ⅲ. 연명치료중단의 결정권 = 14

    1.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결정 주체 = 14

    2. 환자의 자기결정권 = 15

    가. 자율성의 개념 = 15

    나. 자율성존중의 원칙 = 16

    3. 의사결정능력이 없는 환자를 위한 의사결정 = 22

    가. 대리의사결정 = 23

    나. 순수자율성 = 24

    다. 최선의 이익 = 25

    Ⅳ. 환자 자기결정권의 방식 = 28

    1. 사전의사결정서 = 28

    2. 사전의사결정서의 유형 = 29

    가. 특정조치 요청 = 29

    나. 대리 결정자 지명 = 30

    다. 가치관 표명 = 30

    라. 복합적 형태 = 31

    3. 사전의사결정서 도입의 필요성 = 31

    V. 결론 = 33

    참고문헌 = 35

    Abstract = 3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68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3
    456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11
    456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456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15
    4564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4563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4562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48
    4561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7
    4560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5
    4559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4558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6
    455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203
    4556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64
    4555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3
    4554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47
    4553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31
    4552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4
    4551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4550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63
    45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