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905985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 (A) study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최근영
  • 형태사항 : iv, 100 p. ; 30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천수
    참고문헌 : p. 88-96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2012. 8
  • DDC : 340 2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초록 ( Abstract )

  •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이 논문은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 발생하는 법적 논점에 관한 글입니다. 이 논점은 특히, 민사법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이 논의는 대법원 2009다17417 ...
  •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이 논문은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 발생하는 법적 논점에 관한 글입니다. 이 논점은 특히, 민사법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이 논의는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이후에 많은 논의가 있었다.

    연명치료중단은 회복불가능한 환자에게만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연명치료중단은 생명권의 처분이라는 점에서 인정되기 어렵지만, 헌법상 자기결정의 원리로써 인정된다. 연명치료는 환자의 주된 병적 상태를 바꿀 수는 없이 생명을 연장하는 치료로써 의료행위의 범주에 포함된다. 따라서 연명치료에 대한 결정은 사전동의에 의하여 정당화 된다. 연명치료거부의 결정은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는 경우에 죽음을 거부하지 않는 것이므로, 비합리적인 결정이라고 보기 어렵다. 즉, 연명치료의 결정은 환자의 생명보다 자기결정을 우선시하여 인정되는 것으로 결정이 있는 경우에 응급의료보다 우선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연명치료에 대한 결정이 존재하지 않거나 추정적의사가 문제되는 경우에 생명의 존중을 위하여 연명치료는 개시되어야 한다.

    연명치료중단의 특별한 허용요건은 객관적 요건인 회생불가능성, 의학적 무의미성과 주관적 요건인 환자의 의사(意思)이 필요하다. 회생불가능성은 시술 가능한 모든 의료행위를 하여도 환자가 회생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로 의학적 판단의 문제로서 가치중립적 요소이다. 이에 반해 의학적 무의미성은 사망을 야기할 근본적인 질환을 치료할 수 없거나 급박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사망임박의 포함여부는 인간으로서는 사실상 할 수 없는 것이므로 포함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환자의 의사와 관련하여서는 현실의사와 추정의사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현실의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치료거절의 경우와 같이 환자의 의사에 따라 인정하면 될 것이다. 현실의사는 거절 내지 중단의 시점에 표시된 의사이고, 언어에 의한 명시적 표시와 행위 등으로 이루어지는 묵시적 표시를 불문하는 것이다. 추정적 의사는 현실의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연명치료중단을 인정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실체적인 의사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확인된 의사에 따라 인정하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경제적인 이유 등에 의한 연명치료중단은 인정되지 않는다.

    사전의료지시는 의료의 내용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고 표현할 능력을 상실하거나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에 대비하여 사전에 자신이 받기를 원하는 의료의 범위와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의 치료거부를 전제인 자기결정의 한 모습이다.
    연명치료중단이 진료계약 관계의 종료라는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연명치료중단은 진료계약의 해지로 오해받기 쉽다. 연명치료중단은 동의능력이고, 연명치료중단을 일부만 중단하면 그 이외의 치료행위는 계속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연명치료중단은 진료계약의 해지가 아니다.

    질병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성년후견제도는 연명치료중단에는 적용이 없다. 환자 상태의 개선을 목적으로 성년후견제도는 죽음에 가까워지는 연명치료중단과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연명치료중단의 결정을 후견인의 동의로 확장하는 것은 연명치료중단의 허용경계선을 확장시키는 것이고, 후견인이 연명치료중단의 결정에 권한을 남용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는 성년후견제도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8 9 보건의료 미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기술(Health IT) 법제 / 왕승혜 2017  84
    687 23 연구윤리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김병철 2013  84
    686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의 제도적·운용적 특성과 공공성 연구/여영현, 김혜정 2018  84
    685 14 재생산 기술 제3자가 관여된 생식보조기술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김성은 2015  84
    68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필요 개념에 따라 규정한 불필요한 일차 의료 이용 / 이경도 2018  84
    683 9 보건의료 국내 임상시험 전자화 현황과 적용방안 / 왕보람 외 2013  84
    682 9 보건의료 제네릭의약품 중심 기업의 전략적 딜에 대한 연구 / 유다인 2017  84
    681 14 재생산 기술 미혼 여성의 임신능력 보존을 위한 난자 동결에 대한 인식 /조한선, 김혜옥 2017  84
    680 2 생명윤리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이기훈 2016  84
    679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4
    67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67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67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의 발달을 둘러싼 현대사회의 법적 과제 -대리모 및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 함철훈 2003  84
    675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2011  84
    67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673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84
    672 1 윤리학 인간의 시점에 대한 우리 법의 입장 고찰 / 손명세, 유호종, 이경환 2002  84
    671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2010  84
    670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한명숙 2014  83
    669 19 장기 조직 이식 해외원정이식의 현황과 대응방안 / 안형준 외 2016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