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 의료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49673 

無意味한 延命治療 中斷에 대한 立法的 考察 : 大法院 2009.5.21. 宣告 2009다17417 判決로 觸發된 論爭點을 中心으로





초록 ( Abstract )

  •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겁다. 안락사, 존엄사, 자연사,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등 생명연장을 위한 의료적 처치를 둘러싼 논쟁은 지난 수십 년 간 계속...
  •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겁다. 안락사, 존엄사, 자연사,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등 생명연장을 위한 의료적 처치를 둘러싼 논쟁은 지난 수십 년 간 계속되어 온 화두지만, 최근 ‘무의미한 연명치료 장치의 제거 등 청구소송(일명 김할머니 사건)’에서 호흡기 제거를 허용한 대법원의 변화된 입장을 기점으로 동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각계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를 통해 오랫동안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뤄지던 논의는 이제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만약 허용한다면 어떠한 기준, 절차, 요건 등을 전제로 허용할 것인가에 대한 한정된 논의로 좁혀졌다고 보아도 무방한 수준에 이르렀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찬·반 입장은 모두 설득력이 있다. 연명치료 장치에 의존해서 의미 없는 생명연장을 계속할 것인가,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찬성 측 논거는 이미 다수 여론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비용 부담과 한정된 의료자원의 합리적 운영을 이유로 내세우기도 한다. 반면 치료만 하면 생존과 치유가 가능한 질병을 가진 환자들도 돈이 없어서 생명을 포기하는 일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명치료로 인한 경제적 고통이 가족·친지 등에 의한 섣부른 연명치료 중단 결정으로 이어지는 등 제도가 남용될 수 있다는 반대 측 논거도 일리 있다. 삶과 죽음에 대한 결정을 스스로 혹은 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비롯해 사회 전반에 생명경시풍조가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중단 결정이 이미 공공연히 발생하고 있고 이는 대법원 판결 이후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일선 의료기관이 먼저 나서서 치료중단을 위한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면서 시행의지를 공론화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국가 정책적 차원의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국회에서의 활발한 입법 논의가 요구된다.
    현재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에는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문제를 법제화하기 위한 제정 법률안이 3건 제출되어 있지만 제대로 심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명을 둘러싼 논의인 만큼 서둘러 졸속 처리할 문제는 아니지만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로 무작정 심의를 미루는 태도도 곤란하다.
    의·과학의 발달로 생명 연장을 위한 기술이 날로 향상됨에 따라 수년전만해도 사망했을 환자가 지금은 최첨단 연명치료 장치에 의존해 삶을 연장하고 있다. 이는 동 논의가 단 한차례의 결론으로 매듭지어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향후 의·과학의 발달정도에 따라 어느 시점에서든 재논의될 수 있는 문제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결론만큼이나 성숙한 합의과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절차적 정당성을 전제로 충분한 사회적 합의과정을 거쳐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야만 제도시행에 따른 혼선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8대 국회에서의 입법논의가 비록 결론을 도출하지 못할지라도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에서의 논의는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진일보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회가 시대적 사명감과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신중하고 진지하게 그리고 즉각적으로 논의에 임해야 하는 이유이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2장 판례 검토 4

    제1절 사건개요 및 판결요지 4

    Ⅰ. 사건개요 4

    1. 사실관계 4

    2. 원고측 주장 5

    3. 피고측 주장 5

    Ⅱ. 판결요지 5

    제2절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 검토 : 입법론적 관점에서 7

    Ⅰ. 연명치료 중단의 허용 요건 8

    Ⅱ. 사전의료지시서의 효력과 생전유언의 인정 10

    Ⅲ. 추정적 의사의 판단 12

    Ⅳ. 회복불가능한 상태의 판단 14

    Ⅴ. 입법의 필요성 15

    Ⅵ. 소결 17

    제3장 입법안 검토 19

    제1절 입법 추진현황 및 주요내용 19

    Ⅰ. 입법 추진현황 19

    1. 해외의 입법동향 19

    2. 국내의 입법추진 경과 22

    Ⅱ. 법률안 주요내용 검토 24

    1. 존엄사법안 (신상진의원 대표발의) 24

    2.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권리에 대한 법률안 (김세연의원 대표발의) 30

    3.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법률안 (김충환의원 대표발의) 35

    제2절 각 법률안 쟁점별 검토 39

    Ⅰ. 연명치료의 허용근거 및 범위 39

    1. 연명치료 중단 대상 39

    2. 연명치료의 범위 40

    3. 영양·수분공급의 중단 42

    Ⅱ. 사전의료지시서의 활용 등 43

    1. 사전의료지시서의 효력 43

    2. 유언의 인정 45

    Ⅲ. 의사표시의 대리 및 추정 45

    1. 의사표시의 대리 46

    2. 의사표시의 추정 47

    Ⅳ. 연명치료 중단의 오·남용 예방장치 48

    1. 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48

    2. 상담절차 및 설명의무 50

    3. 감독 및 처벌 51

    Ⅴ. 소결 52

    제3절 입법방향에 대한 제언 54

    Ⅰ. 입법형식과 용어의 사용 54

    1. 입법의 형식 54

    2. 제명에 대한 논쟁 55

    3. 말기환자의 개념정의 57

    Ⅱ. 심의기구의 독립성·객관성 확보 및 윤리적 운영 58

    1. 국가의료윤리위원회의 설립 형태 58

    2. 기관위원회의 위상 및 역할 59

    3. 판정기준 및 절차 강화 60

    Ⅲ. 환자 의사표시의 객관화 61

    1. 추정적 의사의 객관성 확보 61

    2. 추정적 의사의 단계적 허용 62

    3. 유언의 인정 62

    Ⅳ. 치료중지 범위의 구체화 63

    1.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수용성 63

    2. 특정의료행위에 대한 금지 64

    3. 사전의료지시서 양식 통일 65

    Ⅴ. 그 외의 논의 66

    1. 처벌조항의 강화 66

    2. 면책규정 66

    3. 단계적 입법의 검토 67

    제4장 결론 69

    부록 73

    참고문헌 9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88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실패유형 재조명: 복구 가능과 복구 불가능 서비스 / 윤성욱, 서미옥 2016  102
    3687 1 윤리학 수형자의 치료받을 권리에 대한 법적·의료적 현황과 문제점 / 이석배 2015  103
    3686 15 유전학 [과학동아 다시 읽기] 유전자 조작 어떻게 바라볼까 / 김재현 2010  103
    3685 2 생명윤리 [학술자료] 기회로서의 치매 - 우리는 이 상황(도전)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며 하나의 기회로서 삼을 수 있을까/라이머 그로네마이어, 베레나 로테, 이경의 2016  103
    3684 9 보건의료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최현숙, 박규용 2015  103
    3683 9 보건의료 약사법상 담합행위에 관한 고찰 / 장연화, 백경희 2013  103
    3682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 기반의 작업치료 진료행위 현황에 관한 연구: 2011~2015년 / 조승현, 양영애 2016  103
    3681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3
    3680 20 죽음과 죽어감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홍석영 2007  103
    3679 5 과학 기술 사회 형사사법 분야에서의 로봇 기술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 신현주 2017  103
    3678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험운행에 관한 각국 법안의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2017  103
    367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2011  103
    3676 18 인체실험 의과대학의 임상수행능력시험(CPX)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박장희 2008  103
    3675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 차승현, 하대청 2017  103
    3674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한 의료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 정명진, 이민화 2017  103
    367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가족들의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대한 영향 요인 조사 / 오재숙 외 2017  103
    3672 15 유전학 `옥자`와 바이오산업… 육식의 종말은 가능할까? : 반려동물로 변신한 유전자 변형 `슈퍼돼지` / 고영민 2017  103
    3671 12 낙태 낙태 담론과 낙태 합법화 추이 / 김민지 2018  103
    3670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3
    366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