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775171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기타서명 : (The)study on medical personnel's perceptions of the advanced directive about the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 저자 : 이지애
  • 형태사항 : iii, 10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지도교수: 장성옥
    참고문헌 : p. 95-9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2009.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 주제어 : 사전의사결정, 연명치료중단



초록 ( Abstract )

  • 사전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의견과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논의가 활발...
  • 사전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의견과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될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의료적 결정에 대한 지식체를 산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K대학병원의 호스피스 병동 의사와 간호사, 중환자실 간호사 3그룹으로 나누어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각각 1~2차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방형코딩과 토픽코딩의 자료분석을 통하여 7개의 주제와 22개의 범주, 7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기존 치료의 한계가 노출되는 상황’, ‘환자가 중심이 되는 결정’, ‘번복할 수 있는 준비과정’, ‘환자․보호자․의료인이 함께하는 새로운 관계 설정’, ‘사회적 합의 구성을 위한 당사자 결정’, ‘아직도 받아내기 난감한 방법’, 그리고 ‘환자, 보호자, 의료인 모두를 위한 조심스런 선택’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주제 및 범주를 포함한 간호사, 의사 집단의 의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기존 치료의 한계가 노출되어 회생 가능성이 없는 절박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결정이다.
    2. 사전의사결정의 주체는 환자가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는 환자의 자율적 의지에 따른 자기결정권의 표현이다.
    3.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설명을 제공할 때 환자나 보호자의 사회적(연령, 직업, 교육정도 등)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제공해야한다. 또한 환자가 언제든지 번복할 수 있는 준비과정이 되어야 한다.
    4.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환자에게는 생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가족과 함께 준비된 죽음을 맞게 도와주며, 의료인에게는 환자, 보호자와 임종까지 함께하는 신뢰관계를 설정하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
    5. 사전의사결정을 계기로 말기 암환자나 보호자들은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고, 그동안 신체적 안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던 전통적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치료적 패러다임을 삶의 질 향상으로 바꾸게 되는 서로간의 새로운 관계궤도 설정이 일어난다.
    6.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아직은 환자, 보호자, 의료인 모두를 위한 조심스런 선택이다.

    개선을 위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다음과 같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관련 규율이나 법적 장치가 미비하며, 사전의사결정의 공통된 양식이나 규정된 방법이 없다.
    2. 병원 간 사전의사결정의 공유가 어렵고, 동일 병원 내에서도 의료인간에 사전의사결정을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통로가 없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사회적 즉 법적, 윤리적, 의료적으로 합의를 이룬 기준과 체계적인 서식 마련이 필요하고, 작성여부 및 내용에 대한 통합적인 공유책 개발이 필요하다.
    2. 많은 시간과 의료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과정이니만큼 여기에 맞는 현실적인 의료수가가 개발되어야 하고, 환자가 왜곡된 선택을 하지 않도록 의료 보장의 폭을 넓혀야 한다.
    3. 환자-의료인간의 대화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고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질병의 위중함을 솔직히 알림으로 환자의 자율적 선택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암환자들의 말기 생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사회적으로 관심이 대두되는 시기에서,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논의가 이루어 지지 않았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공통된 의견의 분석으로 추후 무의미한 연명치료와 사전의사결정과 관련된 연구 및 제도 마련에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7

    Ⅱ. 문헌고찰 8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 국내연구 8

    2. 사전의사결정 11

    Ⅲ. 연구방법 15

    1. 연구 대상 16

    2. 연구 절차 18

    1) 인터뷰 실시를 위한 사전 준비 18

    2) 인터뷰 실시 과정 19

    3. 자료 분석 23

    Ⅳ. 연구결과 25

    1. 포커스 집단 인터뷰 분석 : 말기 암환자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개념, 범주, 주제 25

    2. 주제 :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29

    3. 말기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81

    Ⅴ. 논의 83

    Ⅵ. 결론 및 제언 91

    참고문헌 95

    부 록 100

    Abstract 103


    표 목 차

    <표1> 그룹구성원 특징 17

    <표2> 예상질문 18

    <표3>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25


    부록 목차

    < 부록 1 > 참여자 카드 100

    < 부록 2 > 질문지 1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8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
    37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3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대한 연구 : 한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 김보배 2009  203
    3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의료인의 형사책임 / 송근화 2011  207
    3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재민 2010  221
    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법제화 방안 / 전수범 2010  238
    3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39
    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3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4
    2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
    2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8
    2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관한 최근동향 / 주호노 2013  364
    2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69
    25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398
    2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13
    2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1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