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87418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기타서명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개선 방안

  • 저자 : 김성희
  • 형태사항 : xi, 11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손명세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과 2010.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검토기구로서 윤리위원회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윤리위원회 설치에 대한 근...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검토기구로서 윤리위원회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윤리위원회 설치에 대한 근거가 되는 법령 등을 분석하고, 윤리위원회를 운영 중인 90개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3개 의료기관의 윤리위원회 담당자로부터 답변을 받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료기관의 윤리위원회는 그 법적 근거에 따라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93%, 임상시험심사위원회는 83.7%, 뇌사판정위원회는 44.2%, 병원윤리위원회는 53.5%, 실험동물윤리위원회는 20.1%, 동물실험윤리위원회는 39.5%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기관에 많게는 7개 모두 각각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2. 의료기관의 많은 윤리위원회는 그 중요성에 비해 전담인력의 부족, 유사한 위원회가 많아 관리의 어려움, 과다한 행정업무, 기관의 지원 부족, 인식과 전문성 부족 등으로 운영상의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의료기관의 윤리위원회는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와 임상시험심사위원회 등을 중심으로 중복기능이 많아 실제로 회의를 중복해서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다수 조사되었고, 법 규정의 정비를 통해 적극적으로 통합운영의 토대가 시습하다는 의견 등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변화하는 의료환경과 생명과학기술 분야에 새롭게 발생하고 있는 윤리 문제에 대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현행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함으로써 윤리문제에 직면시 적극적인 대응과 법적 및 심리적인 지원을 해주는 동시에 환자를 기피하지 않고 정당한 의료서비스가 보편화되고 발전될 수 있는 기회가 될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우리나라가 국제적으로 생명윤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68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3467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3466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3465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3464 1 윤리학 생명과학Ⅰ에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양석 2018  114
    3463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3461 15 유전학 Structured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Research Field: Hormesis in Biology,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Regulatory Science 2015  115
    3460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정책,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박영준 2016  115
    3459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에 관한 영국 이행입법의 법적 검토/김두수 2015  115
    3458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근원과 방향/곤잘로 미란다 2015  115
    345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구조분석 / 윤기찬, 장한나 2014  115
    3456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2011  115
    3455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3454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질환환자에서 국내기증자조혈모세포이식과 해외기증자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비교/ 고영일 외 2017  115
    3453 12 낙태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이재학 2017  115
    3452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5
    3451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5
    3450 22 동물복지 동물의 지위에 대한 법정책적 담론 / 윤익준 2016  115
    3449 22 동물복지 효율적인 동물복지 정책관리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긴순양 2016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