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52700 

도서관 소장자료 링크 : http://bprlib.kr/CORE/?moduleName=_core.LasSearchDetail&control_no=5494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저자 : 김시형
  • 형태사항 : viii, 113 p. : 삽화.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최경석
    참고문헌: p. 108-11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2013. 8. 졸업
  • DDC : 10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3




초록 ( Abstract )

  • 우리 사회에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논의가 최근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다양한 쟁점들에 직면하여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또는 어떤 결론에 도달하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
  • 우리 사회에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논의가 최근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다양한 쟁점들에 직면하여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또는 어떤 결론에 도달하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별적인 쟁점에 대한 논의를 다루기보다 쟁점들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어떻게 접근하는지의 문제 즉 방법론의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에는 원칙중심주의 접근법, 사례중심주의 접근법, 반성적 평형의 접근법이란 세 가지 방법론이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방법론은 뷔첨(Tom L. Beauchamp)과 췰드리스(James F. Childress)의 저서,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와 스타인박(Bonnie Steinbock), 애러스(John D. Arras) 및 런던(Alex John London)의 편집서, Ethical Issues in Modern Medicine, 먼슨(Ronald Munson)의 Intervention and Reflection 등 생명의료윤리학의 주요 문헌들에서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으로 또는 생명의료윤리 문제에 대한 추론의 방법론으로 언급되고 있다.
    사실 방법론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방법의 성격에 따라 철학적 방법론, 경험 과학적 방법론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철학적 접근법으로서의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추론의 방법론이란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추론의 방법론 중 뷔첨과 췰드리스가 옹호하는 입장은 ‘반성적 평형의 접근법’이다. 뷔첨과 췰드리스는 반성적 평형을 옹호하기 위해서 경쟁이론으로 ‘원칙중심주의 접근법’과 ‘사례중심주의 접근법’을 언급하였다. 필자는 원칙주의에 대한 뷔첨과 췰드리스의 비판에는 동의하지만 결의론의 비판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의 비판은 결의론의 형태 중 일부에만 적용되고, 필자가 옹호하는 ‘온건한 결의론(Modest Casuistry)’에는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존슨(Albert Jonsen)이 주장하는 온건한 결의론은 고대의 수사학인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기반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소피스트 수사학에서 주장했던 개별 상황과 플라톤의 변증법이 주장했던 보편 도덕 원칙들의 사이에서 ‘중용’을 찾으며 수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생명의료윤리학의 상황에서 적용하며 새롭게 해석하기를 시도한 것이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이다.
    온건한 결의론에서는 강한 결의론(Strong Casuistry)과 마찬가지로 사례중심주의 접근법에서 시작하지만 사례 분류학을 배제하는 강한 결의론과 구별된다. 다시 말해서 고대의 수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중용을 추구하는 것처럼 존슨은 강한 결의론이 주장하는 개별 상황과 원칙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보편 도덕 원칙들 사이에서 중용을 긍정하면서 잠정적이나마 일반화를 시도하게 된다.
    필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뷔첨과 췰드리스가 그들의 저서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에서 소개하는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추론에 기반 한다는 점에 대해서 간과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이러한 간과로 뷔첨과 췰드리스는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으로서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이해하려는 독자들을 오해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필자의 이와 같은 주장은 온건한 결의론과 넓은 반성적 평형 중 어느 한 쪽이 전체적 평가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 논문을 통해서 적어도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필자의 주장은 학문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어떤 함의나 영향이나 함축을 가질 것이다. 학문적으로는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 중 온건한 결의론에 대해서 기존의 문헌들 보다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자칫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으로서 다수의 학자들이 옹호하는 반성적 평형만이 우세한 입장이라는 인식에 전환을 가져올 것이다. 즉, 반성적 평형의 유력한 경쟁이론으로서 온건한 결의론을 소개함으로서 생명의료윤리학에서 개별 사례의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실천적으로는 생명의료윤리학에서 제기 되는 문제들이 주로 의료현장에서 펼쳐지는 것임을 인식하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온건한 결의론에 따라서 개별 사례에 기반 한 도덕 추론을 전개하는 가운데 보편 도덕 원칙들을 고려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들을 익힐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 기반 한 ‘논증하는 기술’로 표현될 것이다.





    목차 ( Index )

    I. 머리말 1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 5

    A. 결의론(Casuistry)의 기반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9

    1. 논증하는 기술을 강조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9

    2.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서 논거발견술의 중요성 11

    B. 생명의료윤리학의 세 가지 추론 방법론 19

    1. 원칙중심주의 접근법의 특성 및 이에 대한 비판 20

    2. 사례중심주의 접근법의 특성 및 이에 대한 비판 25

    3. 넓은 반성적 평형의 접근법의 특성 및 이에 대한 비판 33

    Ⅲ. 결의론적 추론(Casuistic Reasoning)의 세 단계 45

    A. 토픽의 지정 48

    1. 토포스(Topos)와 일반 토픽(Common Topic)의 기능 49

    2. 개별 토픽의 의의 및 임상의료의 네 가지 토픽의 특성 53

    B. 개별 상황들에 대한 기술과 평가 58

    1. 결의론 목록의 활용 58

    2. 엔티메메와 격률들 64

    C. 사례들의 비교와 유비추론 71

    Ⅳ. 온건한 결의론의 정의와 실천적 적용 78

    A. 사례 형태학 82

    1. 사례의 구조 : 상황과 격률의 상호작용 82

    2. 도덕 논증을 위한 툴민 모형의 적용 85

    B. 사례 분류학 92

    1. Taxonomy(분류학)란 용어의 유래 및 기능 92

    2. 예외적인 사례는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 94

    C. 결의론적 추론의 역동성 99

    1. 상황과 격률의 상호작용의 추론 99

    2. 사려 깊은 추론인 결의론적 추론의 실천적 적용 102

    V. 맺음말 106

    참고문헌 108

    Abstract 1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88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범경철 2014  596
    408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408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596
    408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4084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595
    4083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2005  594
    4082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4081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4080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4079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1
    4078 9 보건의료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박진아 2012  590
    4077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90
    4076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2018  589
    4075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4074 9 보건의료 2016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 보험연구원 2016  588
    4073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4072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2015  587
    4071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6
    406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