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법의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56257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 Euthanasia of Clinical Nurse’s


  • 저자 : 이윤정
  • 형태사항 : 48, ii, 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나연경
    참고문헌: p. 43-4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법의간호학과 2013. 8
  • DDC : 614.1 22
  • 발행국 : 대구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3
  • 주제어 : 간호사, 생명의료윤리, 안락사




초록 ( Abstract )

  •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평균 평점은 2.94점이었으며, 안락사에 대한 태도의 평균 평점은 2.83점이었다. 하위영역별 점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태아의 생명권 영역이 3.36점으로 가장 높았...
  •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평균 평점은 2.94점이었으며, 안락사에 대한 태도의 평균 평점은 2.83점이었다. 하위영역별 점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태아의 생명권 영역이 3.36점으로 가장 높았고, 장기이식 영역이 2.25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대상자의 권리 영역이 3.25점으로 가장 높 았고, 생명존중 영역이 2.2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에서는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 직 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서는 연령, 근무경력, 직위, 생명 의료윤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명의료윤리 의식 하위영역 중에서 인공임신중절, 신 생아의 생명권, 안락사 부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인간생명공학과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 연구와 안락사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간호사뿐만 아니라 의료를 행하는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안락사에 대한 반복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조사한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측정도구 모두 신뢰도 계수가 낮았으므로 객관적이고 타당성 높은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간호사들의 올바른 윤리관 확립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목차 ( Index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목적 4

    용어의 정의 5

    이론적 배경 7

    생명의료윤리 의식 7

    안락사에 대한 태도 14

    연구방법 20

    연구 설계 20

    연구 대상 20

    연구 도구 20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21

    자료 분석 22

    결 과 2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2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 2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락사에 대한 태도 30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 36

    논 의 37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3

    영문초록 i

    부 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 유전학 The challenge of personal genomics in Germany

    발행년 2013 

    • 조회 수 64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64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발행년 2019 

    • 조회 수 63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3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발행년 2011 

    • 조회 수 6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3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분야 리베이트 규제의 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63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발행년 2015 

    • 조회 수 63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발행년 2017 

    • 조회 수 63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발행년 2017 

    • 조회 수 6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스마트기술과 표준화 전략 / 이상동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 김성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

    14 재생산 기술 代理母契約을 통한 子의 出産의 法律問題 / 이귀자

    발행년 1994 

    • 조회 수 63

    14 재생산 기술 기술의 문화적 재현과정과 실천 / 김경례

    발행년 2010 

    • 조회 수 63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발행년 2015 

    • 조회 수 63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62

    9 보건의료 중소병원 및 일차의료기관의 환자안전 현황과 정책 과제 / 서제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62

    9 보건의료 2018년 꼭 알아야 할 병의원 관련 개정세법 / 신진혜

    발행년 2018 

    • 조회 수 62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발행년 2018 

    • 조회 수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