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5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북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53822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Influence Factors of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for Nurse in Health Promoting Hospital


  • 저자 : 이진숙
  • 형태사항 : 50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권소희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8
  • 발행국 : 대구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건강교육, 간호사, 건강증진병원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건강증진병원 4곳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40일간으로 본 연구는 K병원 ...
  • 본 연구는 건강증진병원 4곳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40일간으로 본 연구는 K병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Mann-Whitney U,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역할모델인식은 평균 226.89,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평균 18.52, 건강교육수행은 평균 15.68점이었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학력, 근무경력에 따라 건강증진역할모델인식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흡연여부에 따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학력에 따라 건강교육수행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β=.297), 역할모델인식(β=.262), 학력(β=.161)이며, 25.1%의 설명력을 보였다(F=6.874, p<.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에 영향 미치는 요인 중, 건강증진역할모델인식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본 연구는 건강교육수행여부에 대해서만 측정하였으나, 추후 교육의 질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건강증진병원과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에 대해 반복연구로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 Index )

    목 차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연구 목적 4

    용어 정의 5

    문 헌 고 찰 6

    건강증진병원 6

    간호사의 건강교육 7

    연 구 방 법 11

    연구설계 11

    연구대상 12

    연구도구 12

    자료수집방법 15

    자료분석방법 16

    연 구 결 과 17

    일반적 특성 17

    건강증진행위 19

    간호사의 건강증진역할모델인식,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건강교육수행 및 건강교육수행 장애요인 20

    일반적 특성과 건강증진행위에 따른 건강증진역할모델인식,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건강교육수행의 차이 22

    임상경력, 건강증진역할모델인식 및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건강교육수행간의 상관관계 25

    건강교육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 26

    논 의 28

    결론 및 제언 32

    참 고 문 헌 33

    Abstract 41

    부 록 4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3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2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192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발행년 2010 

    • 조회 수 1987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6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3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발행년 2002 

    • 조회 수 137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발행년 2004 

    • 조회 수 894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발행년 2010 

    • 조회 수 143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0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발행년 2008 

    • 조회 수 129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3

    9 보건의료 1개 3차 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실태 및 효과 / 정시영, 배현아, 어은경

    발행년 2009 

    • 조회 수 47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 임승희, 신애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1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발행년 2011 

    • 조회 수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