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자료
출처 : KBS 추적60분 
방송일자 : 2015-01-24 
키워드 : 죽음,시체검안서,시체,시신,부검결과, 검시제도, 검안시스템 
관련링크 : http://www.kbs.co.kr/2tv/sisa/chu60/view...taType=201 


억울한 죽음 ,어떻게 감춰지나 - 시체검안서의 진실


방송일시 : 2015년 01월 24일(토) 오후 10:15



* 해당 자료는 도서관 미소장자료입니다.

  관련 영상으로 소개하고 관련링크를 누르시면 해당 방송사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간단히 KBS 사이트 회원가입,  로그인 후 보실 수 있습니다.


kbs_co_kr_20150126_151156.jpg



억울한 죽음, 어떻게 감춰지나 - 시체검안서의 진실

방송일시 : 2015.01.24.() 10252TV

 



우리나라에서 병원 밖에서 사망하는 변사자는 일년에 약 8만 명에 달한다. 변사자가 발생하면, 사망 현장이나 장례식장 또는 응급실에서 의사의 확인을 거쳐야만 한다. ‘시체검안이다그런데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검안의가 작성하는 시체검안서와 부검을 통해 확인된 부검감정서를 대조한 결과, 불일치하는 경우가 무려 73.6%나 됐다.

<추적 60>에서는 현장 점검을 통해 시체검안서가 어떻게 발급되는지, 그리고 시체검안서가 어떻게 억울한 죽음을 만들어내는지 추적해본다.

 


의문의 죽음, ‘사고사인가 타살인가


119 상황실에 걸려온 한 통의 전화.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 같다는 아들의 신고였다. 현장에서 시신 상태에 의문을 느낀 119 구급대원의 신고로 경찰과 과학 수사대, 검안 의사도 출동했다. 온몸에 멍 자국이 가득하고 양손과 머리에는 혈흔이 잔뜩 묻은 시신은, 방 안에서 이불이 덮인 채 누워있었다. 아들은 실족에 의한 사고사라고 주장했고 시신을 검안한 의사의 결론은 실족에 의한 뇌진탕이었다. 하지만 부검 결과가 나오면서 밝혀진 사망 원인은 실족에 의한 뇌진탕과는 거리가 멀었다. 시체 검안서 한 장이 바꿔놓은 사건의 실체를 추적해본다.

 


누가 엉터리 시체검안서를 만드나


지난해 유월, 순천에서 한 구의 변사체가 발견됐다. 노숙자인 줄로만 알았던 변사체의 신원이 뒤늦게 유병언 전 청해진해운 회장으로 밝혀지면서, 대대적인 수색에 힘을 쏟던 수사기관의 입장이 무색해졌다. 사건 이후 경찰에서는 억울한 죽음이 없도록 하겠다며 현장 검안의사 인력풀 명단을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대부분 지역에서 일어나는 검안업무를 주로 맡아왔던 전문가들이었다. 그런데 우리가 만난 제보자는, 시신을 보지도 않고 검안서를 작성해주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주장했다. <추적 60>가상의 사망자를 만든 뒤, 명단 속 병원들을 찾아 시체검안서 발급을 요청해봤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시체검안서와 남은 자의 고통


외딴 저수지에서 알몸 상태의 변사체가 떠올랐다. 한쪽 팔에는 마대자루가 묶여있었고, 그 속에는 무거운 돌이 들어있었다. 지문으로 밝혀진 변사체의 신원은, 3월 이후 7개월째 행방을 알 수 없었던 실종자 이씨였다. 시체검안서에 적힌 사망원인과 사망종류는 모두 미상, 이상한 것은 사망날짜였다. 발견 한 달 전인 925일로 정확히 기재되어 있었던 것. 과연 이씨는 9월에 죽은 게 맞는 걸까. 검안의사는 무엇을 근거로 사망날짜를 기록한 걸까. 가족을 잃고 범인도 잡지 못한 슬픔에 빠진 유족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주고 있는 시체검안서의 실체를 추적해본다.

 


검시제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추적 60> 제작진은 시체검안서를 작성해본 적이 있는 의사 100(병리학 전공자 제외)을 상대로 검안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검안을 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또 검안을 하지 않고 검안서를 작성한 적도 있을까. 설문 결과, 부실한 검안 시스템의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났다.

 

검안을 한 의사도 하고 나면 찝찝함이 남습니다. 현재 검안 시스템은 없느니만 못 합니다

- 설문조사 답변 중

 

응급의학과 의사로서는 아픈 사람을 안 아프게 하는 게 먼저에요.

너무 바쁜데 시체검안서 써달라고 오면 사실 소홀해지죠.”

-윤동원 (가명) / 응급의학과 의사

 

사망 현장에 법의관을 보내는 것을 법으로 규정한 미국 워싱턴의 <과학수사국><법의청>을 찾았다. 규정 자체가 없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검시자의 자격을 명확히 하고 검시 대상이 되는 죽음에 대해 12가지 세부 항목을 정해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 서울과 부산, 울산에서는 법의학자들이 경찰과 협력해 현장 검안에 참여하는 등,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당장 인력부터 태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12, 우리나라에서도 법의관을 도입해야 한다는 법안이 발의됐다. 과거에도 비슷한 법안이 수 차례 발의됐지만 번번이 무산돼온 것이 현실. 전문가들은 제대로 된 검시제도가 없는 지금의 현실에선 죽은 자의 인권도 유족들의 권리도 보장받기 힘들다고 지적한다.

<추적 60>은 허술한 검안 시스템을 점검해보고, 망자의 죽음을 진정으로 위로하는 길은 무엇인지 생각해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출처 방송일자 키워드 조회 수
공지 ! 미디어자료 이용 안내       770
38 20 죽음과 죽어감 아름다운 마무리 file KBS 시사기획10  2010-03-23  죽음, 임종, 죽음학, 마무리, 호스피스, 녹화자료, 시사기획10  383
37 20 죽음과 죽어감 생사의 갈림길 마지막 1시간 file KBS 시사기획10  2011-05-24  죽음, 녹화자료, 중상, 골든타임, 외상환자, 기퍼즈, 시사, 외상전문센터, 시사기획10  578
3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 file KBS 스페셜  2009-08-02  의료, 존엄한, 죽음, 존엄사, 김할머니, 스페셜, 다큐, 캐런 앤 퀸런, 죽음준비학교, 존엄사판결, 뇌사, 식물인간, 연명치료중단, 무의미한, 녹화자료, 자발호흡, KBS스페셜  926
35 20 죽음과 죽어감 70세의 쇼크, 7만 시간의 공포 file KBS 수요기획 509회  2012-09-19  평균수명, 고령화, 죽음, 태도, 노인복지, 현실, 시사, 다큐, 노인범죄, 녹화자료, 수요기획  608
3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세가지 시선 file KBS 금요기획 9회  2011-03-18  죽음, 다큐, 녹화자료, 시사, 기획, 제이드구디, 호스피스, 오스왈드, 뇌사상태, NDE, Near Death Experience, 금요기획  1001
33 20 죽음과 죽어감 유명무실 ‘장례자격증’ file KBS 취재파일4321  2012-09-16  죽음, 장의사, 장례지도사, 장례업, 장례자격증, 국가자격증, 장례지도학과, 실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녹화자료, 취재파일4321  449
32 20 죽음과 죽어감 고독사 혼자 맞는 죽음 file KBS 취재파일4321 571회  2011-11-27  고독사, 죽음, 노인, 유품정리업체, 무연사회, 일본, 사례, 뉴스, 제도, DDS, 약물전달시스템, 항암치료, 부작용, 나노바이오, 녹화자료, 취재파일4321  581
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어떻게 file KBS 취재파일4321 476회  2009-11-15  연명치료, 취재파일, 죽음, 연명치료중단, 품위, 아산병원, 고윤석, 중환자, 연명치료, 존엄사, 김할머니, 지침, 구인회, 허대석, 녹화자료, 취재파일4321  810
30 20 죽음과 죽어감 하루 : 호스피스 병원에서의 3일 file KBS 다큐3일 148회  2010-05-09  의료, 호스피스, 죽음, 말기암, 병원, 완화치료, 말기환자, 죽어감, 마무리, 녹화자료, 다큐3일  2388
29 9 보건의료 자살시도자를 구하라 file KBS 생명의최전선 7회  2013-12-12  응급의료, 녹화자료, 자살, 죽음, 응급의료센터의, emergency, medical, 심폐소생술, 응급실, 응급환자, 생명의최전선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