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2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531812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The Application of Legal Representative for Decision Making of Life Support Care - Oriented to Patient’s Constitutional Right and Guardian’s Representative Authority -




초록 ( Abstract )

  • 연명치료의 의사결정은 생명유지에 관한 지식과 기술이 지속적으로 진보함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어려운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환자 및 보호자, 그리고 의료인들에게는 이러한 의...
  • 연명치료의 의사결정은 생명유지에 관한 지식과 기술이 지속적으로 진보함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어려운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환자 및 보호자, 그리고 의료인들에게는 이러한 의사결정에서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새로운 특별법 체계를 만들거나 기존 법체계에 새로운 법리를 이식하기 보다는 환자의 헌법적 기본권과 법정대리인의 대리 권한에 기초하여 기존 법리의 안에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기본권에 기초한 대리인 법리를 활용하는 이 접근 방식은 연명치료중단의 의사결정에서 환자의 잔존하는 권리인 생명권과 자기결정권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판단은 환자에게 중요한 의사결정이므로 환자 본인과 이해관계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구속력 있는 법적 판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법적 판단을 얻기 위하여 보호자가 법정 대리를 신청하여 의사결정에 관한 대리 권한을 얻은 후 이를 법원을 후견감독인으로서 선임하여 법적 판단에 최종 주체가 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의사결정에 계층적 병원윤리위원회 체계를 문제해결과정에 연동하여 의료 관계자들의 의사결정참여를 증진시키고 의료인과 환자를 의사결정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환자의 권리사실과 사회적 상황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판단의 타당성을 확보한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명치료중단의 결정에 관한 논의

    Ⅲ. 환자의 헌법적 기본권의 존부

    Ⅳ. 환자의 연명치료중단의 의사결정

    Ⅴ. 의료계약에서의 법정대리권의 적용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3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2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192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발행년 2010 

    • 조회 수 1987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6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3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발행년 2002 

    • 조회 수 137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발행년 2004 

    • 조회 수 894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발행년 2010 

    • 조회 수 143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0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발행년 2008 

    • 조회 수 129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3

    9 보건의료 1개 3차 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실태 및 효과 / 정시영, 배현아, 어은경

    발행년 2009 

    • 조회 수 47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 임승희, 신애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1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발행년 2011 

    • 조회 수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