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2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531810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The bases and methods of the right not to know ones own genetic information





초록 ( Abstract )

  • 앎은 전통적으로 좋은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자기 유전정보에 대한 앎은 불안감이나 초조함 같은 피해만을 줄 수 있다. 그래서 독일법 등에서는 이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를 인정하...
  • 앎은 전통적으로 좋은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자기 유전정보에 대한 앎은 불안감이나 초조함 같은 피해만을 줄 수 있다. 그래서 독일법 등에서는 이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의학 연구에서 이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논의를 시작해야 할 때이다.
    윤리적으로 보면 ‘서로에게 해악을 입히지 않을 의무’로부터 ‘서로로부터 해악을 입지 않을 권리’가 도출된다. 그리고 이 권리에서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가 도출된다. 법적으로는 헌법 10조에 규정된 ‘인간의 존엄 및 행복 추구권’으로부터 역시 이 권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렇게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는 윤리적·법적으로 뒷받침된다.
    그런데 유전체 제공자는 자기 유전정보에 대해 ‘모를 권리’ 이외에 ‘알 권리’ 역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를 권리는 이 알 권리와 잘 조화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그 방법은 첫째, 유전체 제공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다. 즉 자기 유전정보를 통보받을 것인지를 유전체 제공자가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유전체 제공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기 어려울 때는 그 가족 등이 대리 결정하게 하거나 연구자나 의사가 통보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연구현장에서는 이 자기 유전정보에 대한 ‘알 권리’와 ‘모를 권리’에 대한 자각이 부족한데 그 한 이유는 법률상의 미비 때문이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서는 유전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규정만 있다. 여기에 더해 그 정보를 유전체 제공자 본인에게 통보하는 것에 대한 규정 등이 추가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유전정보로 발생 가능한 해악

    Ⅲ.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

    Ⅳ.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와 ‘알 권리’의 관계

    Ⅴ. 자율성 존중을 통한 ‘모를 권리’와 ‘알 권리’의 보장

    Ⅵ. 선의의 간섭을 통한 ‘모를 권리’와 ‘알 권리’의 보장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2
    24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23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22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3
    21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2014  561
    20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6
    1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17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16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15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3
    14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13 5 과학 기술 사회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법적 쟁점 / 김한나 2017  308
    12 9 보건의료 의료 3D 프린팅 기술의 전망 및 소아치과분야에서의 활용 / 이상호 2016  303
    11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3
    10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1
    9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2007  179
    8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7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6 9 보건의료 영상정보학: 인공지능-빅데이터-데이터 과학 시대의 영상의학을 위한 새 지평 / 김종효 2019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