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4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주관성연구 No.2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550050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 A Comparison General Public and Health Professionals’ Perceptions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방법론을 적용하여 일반인과 의료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의 Q 주관성구조와 그들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반인 20명과 의료인 21명을 P 표본으로...
  • 본 연구는 방법론을 적용하여 일반인과 의료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의 Q 주관성구조와 그들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반인 20명과 의료인 21명을 P 표본으로 하여 33개의 Q 표본을 7점 척도상에 강제분포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에서 각각 3개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일반인의 연명 치료에 대한 인식 유형 중 ‘자신의지 중시형’은 의료인의 인식 유형의 ‘환자의지 중시형’과, 그리고 일반인의 유형 중 ‘인간다운 죽음 추구형’은 의료인의 ‘인간존엄 중시형’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인의 ‘종교적 신념형’, 그리고 의료인의 ‘중립자세 추구형’은 각각의 집단에서 그 유형의 특성이 독특하게 드러나 일반인과 의료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에 차이를 나타내어 부분적인 유사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명치료에 있어서 일반인과 의료인, 특히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인식의 차이에 대한 합의점을 모색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의 기초와 간호중재를 논의하였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79
    83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
    82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대한 연구 : 한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 김보배 2009  203
    8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의료인의 형사책임 / 송근화 2011  207
    7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2
    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재민 2010  221
    77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7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의료보험법을 중심으로 / 한수연, 이홍직 2013  238
    7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법제화 방안 / 전수범 2010  238
    7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39
    73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50
    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4
    71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7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0
    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1
    6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
    6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8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 윤은자, 김현정, 전미순, 윤정아 2012  301
    6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