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1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0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078360 
한국어 초록
  우리나라에서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생명의료윤리 주제들과 관련하여 항상 전면에 나서는 것이 인간의 존엄, 국가의 생명보호의무, 생명권이다. 인간의 존엄은 어떠한 입장을 취하더라도 근거로 제시할 수 있는 동전의 양면과 같아 논증의 도구로 적절해 보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인간의 존엄보다는 시민의 생명권과 국가의 생명보호 의무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그런데 생명보호와 생명권이 같은 것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많다. 대법원도 김할머니 사건에서 생명권과 생명보호를 오해한 내용을 판결이유에서 드러냈다.
  이 글은 생명권의 의미를 시민이 자신의 의사에 반하는 생명, 신체에 대한 침해를 방어할 권리로 이해하는 입장을 취한다. 이를 근거로 의사에게 설명의무가 부과되며, 환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의료행위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반면에 국가는 인간존엄의 생물학적 기초가 되는 시민의 생명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진다. 하지만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와 시민의 생명권 행사가 항상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만약 환자가 생명유지의 필수적인 의료행위를 거부하는 경우, 국가는 환자의 생명유지를 위하여 의료행위를 해야 하지만 시민의 생명권은 침해된다. 반면 시민의 생명권을 보호하여 의료행위를 중단한다면 국가는 시민에 대한 생명보호 의무를 다하지 못하게 된다.
  이 글에서 필자들은 인간존엄, 기본권의 주체는 인간에게 한정된다는 입장과 시민의 생명권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에서 국가의 생명보호 의무는 한계에 서게 된다는 입장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최근에 논의되는 생명윤리의 문제인 착상전 유전자진단, 산전 유전자진단, 배아줄기세포연구, 원치 않는 아이,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독일어 초록

  Die Menschenwüdegarantie im Sinne vom § 10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s prägt die Identität des demokratischen Rechtsstaats. Sie ist damit das wichtigste, vielleicht aber auch das „schwierigste” Grundrecht. Betrachtet man jedoch aufmerksam Teile der bioethischen Diskussion der Gegenwart, so ginge es mit der Menschenwürde unhaltsam zu Ende: “Menschenwürde war unantastbar”.
  Vorab ist aber die Frage nach dem Würdeschutz scharf vom Lebensschtz und Lebensrechtsschutz zu trennen. §10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s spricht nicht einerseits von der Würde menschlichen Lebens, sondern von der des “Menschen”. Das Lebensrecht wird andererseits nicht immer in der gleichen Richtung mit dem Lebensschutzpflicht geschutzt. Dennoch haben das koreanische Supreme Court and da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 die Formel geprägt: “Wo menschliches Leben existiert, kommt ihm Menschenwürde zu”. Analistisch leistet diese Formel wenig für die Bestimmung des Würdeschutzes im Zuge des frühen menschlichen Lebens.
  Auf die derzeitige Diskussion besonders bestimmende Probleme der Menschenwürde und des Lebensrechts in der Medizin - d.h. die Präimplantationsdiagnostik(PID), die Pränataldiagnostik(PND), die Forschung an embryonalen Stammzellen and der lebensverlänernde Behandlungsabbruch - wurde abschließend das in diesem Beitrag entwickelte Gerüst übertragen.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인간 존엄의 기초
Ⅲ. 생명권과 생명보호의 적용범위
Ⅳ. 인간존엄과 생명, 생명권의 구체적 보호범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인간의 존엄, 국가의 생명보호의무, 생명권, 착상전 유전자진단, 산전 유전자진단, 배아줄기세포연구, 원치 않는 아이, 연명치료중단, Menschenwüde, Lebensschutz, Lebensrecht, Präimplantationsdiagnostik(PID), Pränataldiagnostik(PND), embryonale Forschung, Behandlungsabbruch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07836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2013  82
70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69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68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67 18 인체실험 임상 적용을 위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 정주원 외 2015  138
66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65 18 인체실험 국내 줄기세포 정책연결망 분석 : 1997~2005 / 손향구 2009  144
6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최호성 외 2013  145
63 18 인체실험 세계 각국의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분석 및 이용 연구 현황 / 정주원 외 2012  148
62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
61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
6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7
59 14 재생산 기술 윤리적ㆍ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 곽만연 2005  173
58 18 인체실험 전단력 자극에 따른 줄기세포 분화 연구를 위한 순환 세포배양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 김형우 외 2015  184
57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 및 분화의 후성유전적 조절 / 박지환 외 2014  192
56 18 인체실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심장질환 관련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4  203
55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기술의 발전 및 응용 / 조승우 외 2014  213
54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4
53 18 인체실험 Gamete Donor Consent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2015  217
52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한국교회의 입장 연구 / 김승호 2016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