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7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철학연구 제17집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68941 
한국어 초록
  1946년에 미국 판사들은 제2차 세계대전 중 강제수용소에서 인체 실험이라는 이름으로 살인과 고문을 자행한 죄로 나치 의사들을 법정에 세웠다. 이 재판이 "의사들의 재판"이라 불리는 뉘른베르크 군사재판 사건번호 1 의학적 사건이다. 재판에 참여했던 의사, 검사, 판사는 독일 의사들의 만행을 반인륜 범죄로 규정했다.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그들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잘못된 소통이 어떻게 한 시대 사람들의 이념을 지배하여 국가를 파멸시키고 독일 의사들을 범죄에 가담하게 했는지에 대해 인식하게 된다. 의사들과 검사들은 검찰 측 변론에 생명의료 철학을 반영하여 인체실험에 관한 생명의학 연구 원칙과 생명윤리를 명기했다. 이를 근거로 판사들은 의사 중심이 아닌 인체실험 대상자 중심의 연구 원칙 10개 조항을 판결문에 명시하는데, 이것이 우리에게 "뉘른베르크 강령"이라고 알려진 것이다. 이는 오늘날 생명의료 연구뿐만 아니라 진료를 위한 국제 표준 윤리의 초석이다. 본 논고는 뉘른베르크 재판이라는 한 역사적 사건에서 단죄된 범죄행위를 단지 가해자들의 개인적인 윤리 문제나 전쟁의 비극적 부산물로 해석하지 않고, 그러한 반인륜적 범죄를 잉태한 사회적 이념과 국가 제도 등의 측면에서 조명한 것이다. 이 논고의 목적은 첫째, 과학과 인문학이 서로 밀접한 양방향 소통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를 밝히고 그 방법론에 대한 과학자와 인문학자 양쪽의 인식의 폭을 넓히며, 둘째, 인문학과 과학의 소통 장애로 야기된 대한민국의 사례들과 전쟁 전 독일 사회에 만연했던 이념적 광기를 유비해서 살펴보고, 셋째, 향후 대한민국에서 효과적 소통과 생명의료윤리 교육의 주체로서 인문학과 생명의료 전문가들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영어 초록

  In 1946, American judges sat in judgement of Nazi doctors accused of committing the crimes, the murderous and torturous human experiments in the concentration camps during World War Ⅱ. This is the Nuremberg Military Tribunal Case 1, the Medical Case, also known as the Doctors" trial. The physicians and lawy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ial, identified the German doctors" crime as a crime against humanity, not mere war crimes. During the trial, they grew to appreciate how the wrong communication betwee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in a society ruined a nation and the ideology of the people in an era and involved them in the crime of atrocities. The physicians and prosecutors stipulated 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concerning the experiment with human subjects in the closing argument of the trial, reflecting the philosophy of biomedical science. And, in the sentencing, the judges articulated a set of 10 research principles centered not on the physician but on the research subject, which today we know as the Nuremberg Code, the cornerstone of the current global standard for ethics in clinical practice as well as biomedical research. I reviewed the whole process of the historical trial with the trial record and the testimony and memoirs of the physicians who played the role of medical professional consultants for the trial. And I tried to shed new light on the code. The aims of this treatise are: to enhance our comprehension of the reason why humanities and biomedical science should maintain abid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to find its methodology; to liken the problems in the field of biomedicine, which temmed from the lack of the communication in Korean society, to the ideological insanity prevailing in the antebellum German society; to emphasize the future role of the professionals both in humanities and in biomedicine as the principal body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education for biomedical ethics.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의사들의 재판(Doctors" Trial)
3. 인문학과 자연과학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뉘른베르크 강령, 국가, 이념, 인문학, 생명의학연구, Nuremberg Code, State, Ideology, Humanities, Biomedical Research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의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689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7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6
56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55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54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5
53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6
»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2
51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1
50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4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48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4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46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45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44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43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2007  496
42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41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40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39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38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