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철학연구 제13집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2762507 
한국어 초록
  표준적인 의료윤리의 논의에서는 의사의 힘(권력)이 거의 들어오지 못했고 주로 의료사회학에서 다루어졌다. 푸코의 임상권력의 논의가 들어와서 의사의 힘이 논의되는 경우에도, 지배기술 위주의 구조주의적 논의에 머물렀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안 모델은 굴복(submission)이 아닌 주체화(subjection)로서, 이는 주체가 되는 과정과 권력에 의해 종속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권력은 억압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사회질서 속에서 지위를 생산한다. 환자는 의사가 휘두르는 권력의 지배하에 놓인 굴종의 존재이기만 한 것이 아니며, 의사 역시 권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푸코는 성의 역사에서 자기기술을 논하고, 이후에는 지배기술과 자기기술의 조합으로서의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을 도입하게 된다. 특히 통치성 개념은 지배기술 외에 자기기술을 포함한 역동적인 개념으로 주체화 개념과 이에 따른 권력의 생산성을 끌어낼 단초가 된다. 또한 푸코의 생명정치, 인구, 안보의 논의는 자유주의의 역설과 정당화를 끌어내고 있어 앞으로의 의료윤리의 논의에 주는 함의가 중요하다.
최근 의료윤리 논의에 일어나고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전환이 있다. 하나는 소위 공공 전회(Public turn)로서 그간 의사-환자 관계 위주로 다루어지던 의료윤리의 논의가 최근 공공철학이나 보건(정책)윤리의 관점에서 논의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제도 전회(institutional turn)로서 의사의 전문직 윤리를 병원조직이나 이를 둘러싼 보건의료제도의 틀 안에서 논하는 것을 이른다. 기존의 의료윤리 논의의 한계와 새로운 전회의 움직임을 배경으로 볼 때, 푸코의 자기기술과 통치성 개념, 인구, 안보와 생명정치 논의는 중요한 대목이다. 물론 하워드 브로디나 카를 야스퍼스가 의사의 힘에 대한 논의를 했지만, 둘 다 의사-환자관계에서의 의사역할하기(doctoring)차원이므로, 앞으로 통치기술이나 통치성 개념을 끌어들이면, 공공 전회와 제도전회 움직임과 맞물리면서 의료윤리담론의 발전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영어 초록

  In the discussion traditional conception of standard doctoring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 physician’s paternalistic intervention in patient’s care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has been widely accepted before the concept of patient autonomy and the doctrine of informed consent has been established in medical ethics discourse. Therefore, the idea of physician’s dominating power has been much less frequently directly introduced in medical ethics discourse than in medical sociology discussion. Actually, even in Foucault’s lectures, earlier ideas of discipline of governmentality in later period. As this happened especially through the discussion of bio-politics and population. According to Foucault’s discussion, technology of government is a dynamic combination of technology of self and technology of domination.
Patients are not dominated by physicians only and also physicians could be object of power. Subjection as an alternative of submission, and government as an alternative of domination has to be considered to embraced into the discussion of medical ethics. Foucaudian conception of technology of government helpful to strengthen the present discussion of medical ethics. This is especially so in terms of the recent ‘public turn’ and ‘institutional turn’ in healthcare ethics and medical professional ethics. Between the individual consumers and health providers and the government, mid-leve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and third party payers like National Health Insurance healthcare governing body begin to be introduced in the medical ethics discourse. And also public accountability of public policy is already discussed in health care policy discourse. In this context of institutional will be very helpful in the debate and discourse on population health and accountable healthcare syste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푸코의 "자기기술"이라는 주제
3. 푸코를 통해 본 스토아철학의 자기기술
4. 기존 의료윤리 논의와 의사의 권력/힘
5. 푸코를 도입한 기존 논의의 한계
6.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의 개념의 유효함
7.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푸코, 자기기술, 의료윤리, 의사의 힘(권력), 지배기술, 통치성, Foucault, Technology of Self, Government, Medical Ethics, Physician’s Power, Bio-politics, Population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의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Image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27625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73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72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71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7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69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68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67 9 보건의료 응급의료의 법과 윤리 / 이석배, 배현아, 정중식, 김미란, 김지희 2009  202
66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2010  202
65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2014  209
64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63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62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61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60 23 연구윤리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 실태 및 발전방향 탐색 / 허유성 외 2012  234
59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58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57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56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55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54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