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제1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62136 
한국어 초록
  지난 40여 년 동안 의료에 대한 사회과학의 지배적 관점은 ‘의료화’ 이론이었는데, 이는 비의학적 현상으로 취급되던 문제(예: 동성애, 알코올중독, 비만 등)를 질병으로 재정의하여 의학적 개입의 영역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전문가의 권력이 확대되는 사회적 과정을 가리켰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 이후 의료 분야에서 생물과학과 정보기술의 확산에 따른 급속한 기술과학적 변화와 이와 연관된 생명경제 등 새로운 사회적 배치의 출현은 최근 ‘생의료화’ 이론이라는 새로운 사회과학적 관점을 대두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대 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및 과학기술학적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기본 작업의 하나로서 의료화 이론과 생의료화 이론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또한 이 중에서 어떤 이론이 더 적실성이 있는가를 정신장애의 사례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적어도 정신장애의 경우에 의료화는 19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온 것이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는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섯 가지의 핵심적 과정들도 대체로 관찰되며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정신장애에 대한 위험․감시의 기술을 제외하곤) 보인다. 이것은 의료화가 지속적으로 관철은 되어 왔지만, 단지 의료적 영역의 양적 확대가 아니라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질적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화의 개념이 비록 오늘날에도 타당하고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적절하고 충분하게 포착되지 않는 새로운 현상들을 생의료화의 개념이 포착할 수 있게 만든다고 인정할 수 있다.



영어 초록

  Over the last forty years, the dominant perspective of social science on medicine has been the medicalization theory. It indicates the social process of expanding power of medical professionals by (re)defining the problems which were treated as non-medical phenomena(e.g. homosexuality, alcoholism, obesity, etc.) into "diseases" and thus the spheres of medical intervention. Meanwhile, rapid technoscientific changes in the medical field owing to the diffusion of biological sc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since the mid-1980s and the accompanying emergence of new social arrangements such as bioeconomy and biological citizenship have led to the rise of a new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 called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two theories and assess their merits and demerits as a basic work to deepen the understandings of sociology and STS on contemporary medicine. And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ir relative relevance through the case of mental disorder. The analysis on the case of mental disorder clearly shows that the medicalization in that area seems to have continuously proceeded since the early 19th centiry to the present. Furthermore, it also seems true that the five central processes of biomedicalization(except for risk surveillance technologies of mental disorder) have been observed and realized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medicalization has consistently proceeded, it has not been limited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medical field but been extended to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asserted by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erefore, while the concept of medicalization is valid and significant even today,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biomedicalization allow us to capture the new phenomena which cannot be properly and sufficiently captured by that of medicalization.



목차

1. 서론
2. 의료화 이론
3. 생의료화 이론
4. 사례: 정신장애의 의료화와 생의료화
5. 평가와 함의: 생의료화 시대의 시민권
참고문헌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과학기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후보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6213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8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26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8
266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8
265 10 성/젠더 젠더-거버넌스(Gender-Governance) 관점에서 모자보건법의 문제점과 합리화 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4  1060
264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263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2
»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26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7
26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78
259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2019  1080
25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2016  1086
257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95
256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096
255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2013  1097
254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2012  1097
253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2
252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7
251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
250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2018  1113
24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