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제62집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2428500 
한국어 초록
  인간의 몸은 생물학적 실체인 동시에 사회적 실체다. 그러나 몸은 역사적으로 독자적인 이해의 범주를 형성하지 못했고, 그 실존방식도 시대에 따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근대 이전의 몸 이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심신이원론에 기초하여 몸을 마음에 종속된 일종의 도구나 수단으로 간주했지만, 서양에서 ‘인신보호법’(1679)이 신체의 구속에대한 제한함으로써 몸, 즉 생명의 문제가 독자적인 정치권력의 핵심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근대 정치운동은 생명을 권리의 문제로 한정시켜 본 한계가 있다. 생명 그 자체가 지향하는 자기 가치는 ‘건강’이고, 그 본래적 의미는 ‘생의학’의 차원에서 규정된다. 이러한 생의학적 배려의 시선을 국가가 장악함으로써 국가는 이제 몸 지배의 새로운 길, 즉 생명정치를 열어간다. 이에 우리도 푸코와 아감벤의 생명정치에 관해 살펴본다. 먼저 푸코의 생명정치 틀 속에서 근대 임상의학의 성격을 규명하고, 다음으로 아감벤의 생명정치 틀 속에서 죽음이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고찰한다.
   나아가 이러한 생명정치의 이념을 오늘날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뇌사판정’이나 ‘안락사 논쟁’에 적용함으로써 생명윤리의 문제가 궁극적으로 국가에 의한 죽음관리에 초점이 맞춰짐을 논의한다.


영어 초록
  It is said that human body is a biological and social substance. But it has never formed the category of independently understanding of the body, so it"s existence showed a different phase as the times changed.
   Before the birth of modern times, human body was only a mean or instrument which was subjected to mind, whose concept is originated from the body and mind dualism. That was as same in the western as in the eastern world. A living body was appeared on modern political movement as the core of political power, since Habeas Corpus Act(1679) had stipulated the prohibition of the restraint of human body without legal permission in the west. But the western political movement has a limit that interprets the problem of body only in virtue of human right. The self-value of life is "health", which is prescribed in the viewpoint of biomedical level. And politics controls the care of national health, from which biopolitics begins. So we observe biopolitics of M. Foucault and G. Agamben.
   We explain firstly the character of modern clinical medicine in the framework of Foucault"s view of biopolitics and then how Agamben sees the death-management in the nazi concentration camp. finally we discuss the problem of being transformed bioethical problems about death or dying into that of death-management by the politics, as we apply a biopolitical idea to the brain death decision and euthanasia disputing, which often occurs in our ordinary life.


목차
[한글 요약]
1. 머리말: 생의학적 시선으로 몸(생명) 바라보기
2. 생명 권력의 탄생과 임상의학
3. 생체실험의 생명정치와 희생당하는 인간
4. 생의학의 발달과 죽음관리
5.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24285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5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5
2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31
2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22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50
2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20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
19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9
18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6
1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5
16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2
»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1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13 1 윤리학 본회퍼 『윤리학』 에서 자연적 생명의 권리에 대한 연구 / 김영수 2015  334
12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11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10 2 생명윤리 영미권의 생명의료윤리학, 어떻게 볼 것인가? : 응용윤리학적 접근법을 비판하며 / 정준영 2008  319
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4
8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7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6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2